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주요 자동차 업체에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인상을 경고했고, 캐나다는 강경한 대응을 다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 자동차 업계는 정책의 세부 사항을 파악하고 타격을 줄일 수 있는지를 파악하느라 분주해졌다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의 한 자동차 대리점.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미국 자동차 산업 부양을 위한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업체들 역시 악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거의 절반이 수입산인 데다, 미국에서 조립되는 차량도 평균적으로 부품의 60%를 해외에서 조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부 국가에서 수출하는 자동차의 경우 다음달 2일 발표될 상호관세와 합하면 관세가 총 40∼50%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월가는 분석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포드나 GM 등 미국 주요 자동차 업체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관세 부과를 이유로 자동차 가격을 올리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자동차 업계의 타격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들에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CEO들과 전화 회의에서 백악관이 가격 인상을 부정적으로 볼 것이라고 말했고 일부 경영진은 가격을 인상하면 처벌받을까 불안해했다고 보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전기차 의무를 없앤 데 대해 자동차 업체가 ‘감사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카니 총리는 “깊은 경제 통합과 긴밀한 안보 및 군사 협력을 바탕으로 했던 미국과의 오래된 관계는 이제 끝났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는 미국에는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카니 총리는 “미국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일련의 조치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를 각각대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우리는 일주일 후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때 대응할 것”이라고 강경한 대응을 시사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