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구역 확대 지정 '급브레이크'
송파 주간변동률 0.79%→-0.03%
강남 0.36%, 서초 0.28%…과천은 0.55%
강남3구(서초·강남·송파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묶겠다는 정부 발표가 나오자 서울 집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습니다.
토허구역 확대 지정에 우려된 강남 주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도 아직은 나타나지 않고 있어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도 상승폭을 축소하는 등 진정세에요. 정부와 서울시가 토허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도 거론한 만큼 당분간은 관망세가 짙어질 것으로 보여요.
/그래픽=비즈워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주간 상승률 0.25%→0.11%
재건축을 포함한 일부 선호단지에 지속적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상승거래가 체결되고 있다는 게 한국부동산원의 분석이에요. 다만 국지적인 급매 수요 및 관망심리 등의 확대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덧붙였어요.
강남3구와 함께 집값이 뛰던 강동과 마포, 용산, 성동도 상승세가 둔화했어요. 강동구는 일주일 새 집값이 0.14% 상승했지만, 전주(0.28%)와 비교했을 때 상승폭은 절반 수준이에요. 용산(0.34%→0.18%)과 마포(0.29%→0.21%), 성동(0.37%→0.35%)도 나란히 상승률이 낮아졌어요.
이 외에도 영등포(0.21%→0.10%)와 동작(0.20%→0.17%), 양천(0.32%→0.29%) 등도 상승폭을 축소했어요.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 랩장은 "올해 서울 집값이 단기에 많이 올랐다"라면서 "토허구역 확대 지정 이후로는 공급 희소성과 고분양가, 전세가격 오름세 영향도 있어 적은 거래 속에 호가 조정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이어 "다만 토허구역 내 2급지와 3급지의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면서 "서울 강동·광진·마포구, 경기도 과천시 등의 풍선효과가 예상돼 향후 토허구역 지정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어요.
/그래픽=비즈워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남 상승률 앞지른 과천
전국 단위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떨어지면서 지난주(0.02%) 대비 하락 전환했어요. 서울의 집값 상승세가 꺾이면서 수도권의 상승률도 0.07%에서 0.03%로 낮아졌고요.
이번 주 과천의 집값 오름세는 서울 강남구보다 가팔랐어요. 과천의 이 같은 상승세는 수요 대비 부족한 공급이 꼽혀요.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과천시에는 지난해 1380가구 입주 이후로 2029년까지 추가 입주 물량이 740가구에 불과해요.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경기도에서 토허구역 지정 얘기가 나온다면 과천과 성남 내 판교가 유력하다"며 "과천은 과거에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사례가 있지만 토허구역으로 묶인 적은 없다"고 말했어요.
인천(-0.06%→-0.07%)은 가격 하락폭이 조금 커졌어요. 청라·가정동 위주로 가격이 하락한 서구(-0.20%)와 입주물량 영향이 있는 송도·옥련동이 있는 연수구(-0.13%)의 내림세 때문이에요.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