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재지정한 지 일주일 만에
주간 상승률 0.79% → -0.03%
주간 상승률 0.79% → -0.03%
정부와 서울시가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대상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전역 아파트 단지로 확대하면서 이들 지역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특히 토허제 해제 당시 아파트값이 가장 크게 올랐던 송파구는 1년여 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넷째 주(3월 24일 기준) 서울 집값은 전주 대비 0.11% 올랐다. 상승세는 유지했지만 상승률은 직전 주(0.25%)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상승률 0.11%는 지난 2월 중순 토허제 해제 후 처음 집계한 2월 24일 수준이다. 서울 집값 상승률이 토허제 해제 이전으로 돌아간 셈이다.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0.01%)도 3월 3일 이후 3주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월 넷째 주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집값 상승폭도 반 토막 났다. 서초구는 3월 둘째 주 0.69%에서 셋째 주 0.28%, 강남구는 0.83%에서 0.36%, 용산구는 0.34%에서 0.18%로 상승률이 뚝 떨어졌다. 특히 송파구는 둘째 주 0.79% 상승에서 한 주 만에 0.03% 하락으로 돌아섰다. 지난해 2월 둘째 주 이후 1년 1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편,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번복 혼선을 되풀이하지 않는 차원에서 조직 개편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시 산하 부동산 전담 조직을 부동산 정책과 시장 동향을 분석하는 조직으로 바꾼다. 신선종 서울시 대변인은 “확대·개편하는 전담 조직에는 세제·금융 시장 등 거시 경제적 변수를 포함해 부동산 시장을 종합적으로 분석·예측할 수 있는 주택 시장 전문가를 합류시켜 조직 가동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