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2 (수)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野, '재탄핵·줄탄핵·재판관 임기연장' 카드 들고 尹파면 총력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은혁 임명이 최우선 목표…"4월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 결심"

고강도 헌재 압박…"尹파면 안하면 新을사오적…책무 포기하고 시류 간봐"

연합뉴스

마은혁 재판관 임명 촉구하는 박찬대 원내대표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게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한 총리가 4월 1일까지 헌법수호 책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은 중대 결심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3.30 utzza@yna.co.kr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곽민서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30일 늦어지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결정을 조속히 끌어내기 위해 가용한 수단을 총동원하며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

탄핵심판 선고가 대통령 추천 몫인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의 임기 만료일인 다음 달 18일 이후로 밀릴 가능성도 일각에서 거론되기 시작하자 민주당은 현 정국을 '비상 상황'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총력전을 펴고 있다.

민주당은 최우선 목표를 자당이 추천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에 두고 원내 1당 지위를 최대한 활용, 국무위원 탄핵과 입법 추진 등의 카드로 대통령 파면을 관철하겠다는 태도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향해 다음 달 1일까지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면 '중대 결심'을 하겠다고 최후통첩을 날렸다.

이 '중대 결심'으로는 복귀한 한 권한대행을 재탄핵하고, 권한대행 시절 '마 후보자 임명 보류는 위헌'이라는 헌재 결정에도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탄핵하는 '쌍탄핵'이 거론된다.

박 원내대표는 "한덕수·최상목은 헌정 질서 파괴 주범"이라며 "한덕수는 쿠데타를 일으킨 전두환이 정권을 찬탈하게 도운 최규하의 길을 걷고 있다. 윤석열 복귀 프로젝트를 멈추라"고 했다.

민주당은 31일 국회 운영위에서 한 권한대행에 마 후보자 임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헌법재판관 2명의 임기 종료 전 탄핵심판 선고가 나지 않을 경우의 수도 대비하고 있다.

헌법재판관 임기 만료 전 탄핵 심판 선고가 나지 않을 경우 이들의 임기를 연장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도 검토 중이다.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은 선고 지연에 대해 "윤석열 복귀, 제2의 계엄을 위한 지연 작전"이라며 "헌법재판관 두 명이 퇴임하는 4월 18일 후까지 시간을 끈 후 한 권한대행의 공석 재판관 임명으로 판을 뒤집어 윤석열을 복귀시키려는 반헌법적 음모"라고 주장했다.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는 나머지 국무위원들도 탄핵하는 '연쇄 탄핵'을 경고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해 "아직 실행 검토는 하지 않는다"면서도 "4월 1일 이후엔 지금 같은 국정 혼란과 헌법 파괴 행위를 묵과할 수 없다. 국회가 할 수 있는 것들을 다 할 것"이라며 실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민주당은 이 같은 '컨틴전시 플랜'을 언제든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당분간 '상시 본회의' 개최를 추진한다.

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은 위헌이라며 우원식 국회의장이 헌재에 청구한 권한쟁의 심판과 마 후보자의 임시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 신청 결과도 지켜보며 대응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구호 외치는 더불어민주당 다선 의원들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정동영, 서영교 의원을 포함한 의원들이 3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4~6선 국회의원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30 ksm7976@yna.co.kr



헌재 재판관들을 향한 민주당의 압박 강도도 갈수록 세지는 양상이다.

이재명 대표는 페이스북에 "대통령 탄핵 최종 선고가 늦어지면서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헌재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며 "국민 모두를 위한 현명한 결정을 신속하게 해달라"고 적었다.

박 원내대표는 "1905년 나라를 팔아먹은 을사오적이 있었다. 공교롭게 올해도 을사년"이라며 "헌재 재판관 결정에 나라의 운명이 좌우된다. 윤석열 파면이 아니라 나라를 파멸로 이끌 결정을 내린다면 '신(新)을사오적'으로 역사에 오명을 남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미애 의원은 페이스북에 헌법재판관들을 향해 "신속한 재판을 통해 헌정 질서를 복구할 최종적 책무마저 포기한 채 시류를 간 보고 있는 형국"이라며 "국회가 비상한 조처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당 4∼6선 의원들은 이날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속한 윤 대통령 파면 및 마 후보자 즉시 임명을 요구했다.

'범야권 탄핵연대'도 일사불란하게 돌아가고 있다.

지난 28일 조국혁신당에 이어 진보당도 이날 한 권한대행과 최 부총리 탄핵을 요구하고 "국회는 민주 공화국을 지키기 위해 모든 권한을 동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일각에선 이런 강경 행보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의원은 페이스북에 "온갖 설과 추측, 가짜뉴스까지 판치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게 올바른 선택인지 판단하기 힘들다"며 "이런 때는 좀 더 차분하고 냉정한 자세로 오직 국가의 내일을 염두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 사심은 모든 것을 망친다"고 적었다.

s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