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군들 잇따라 지진 피해 지역서 휴전 선언
"안전한 구조·구호 집중…유엔·NGO 등과도 협력"
군정은 공격 지속…국제사회 지원도 '정권 지지' 포장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 블룸버그통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미얀마 군부 정권에 저항하는 무장조직 국민통일정부(NUG)는 전날 성명을 내고 “30일부터 지진 피해 지역에서 방어적 행동을 제외하고 2주 동안 공격적인 군사 작전을 중단할 것”이라며 “구호품 수송과 안전을 위해 유엔 및 국제 비영리기구(NGO)와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해 지역에서 구호 활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니혼게이자이는 만달레이에서만 2000채 이상의 주택과 종교시설이 붕괴했으며, 구조를 위한 인력과 장비가 부족할 뿐더러 구조된 시민들을 위한 물자, 전력, 통신 환경 등도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NUG는 또 자신들의 관할 아래 있는 피해 지역에 100만달러를 우선 배정했다면서, 다른 저항 세력들 역시 긴급 구조 및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 반군 세력들이 일제히 지진 피해 지원을 우선시하겠다고 뜻을 모은 것이다. 하지만 AP통신 등은 미얀마 군부가 강진 발생후에도 만달레이주와 인접한 곳 세곳을 공습하는 등 반군 소탕 작전을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반군의 휴전 결정으로 구조 및 구호 활동이 수월해질 수 있겠지만, 지진 이후 재건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내전 때문에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얀마에서는 지난 28일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만달레이 외곽 약 20km 지역에서 진도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인구 150만명의 도시인 데다, 진원지 깊이가 10km로 얕아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수많은 건물과 도로가 무너지고 다리와 댐이 붕괴됐다. 첫 지진 이후 12분 뒤에 6.4 규모의 지진을 포함해 20여차례 여진이 이어지며 피해를 더욱 키웠다.
지금까지 유엔이 500만달러, 유럽연합(EU)이 250만유로, 한국이 200만달러를 각각 지원했다. 미얀마 군정과 우호 관계를 유지해 온 러시아는 구조대와 의료진을 태운 항공기 두 대를 급파했다. 중국도 입장문을 내고 지진 피해 지역에 긴급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의 구호 물자는 전날 도착했다.
미국도 지원을 약속했다. 베트남과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등 군정에 비판적이었던 국가들도 지원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이에 군정이 국제사회의 구호 지원을 자신들을 향한 ‘지지’로 과시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지적했다.
한편 인접국인 태국에서도 이날 오전 기준 사망자 수가 17명, 실종자가 83명으로 늘었다. 태국 수도 방콕은 진원지에서 약 1000㎞ 떨어져 있음에도 건설중인 고층 빌딩이 붕괴해 많은 피해자가 발생했다. 만달레이에 거주하던 일본인도 2명 사망했다. 중국, 베트남, 방글라데시에서도 지진이 감지됐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