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앞에 아파트 시세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축소됐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재지정의 영향, 풍선효과 가능성이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은 여전히 가계대출 추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3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27일 기준)은 전월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의 경우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이 4조3000억원 증가한 바 있다.
변동 폭이 큰 월말 영업일(28·31일)을 감안해도 이달 증가액이 2조원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한창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했던 지난해 12월(2조원) 수준이다.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27일 기준)은 738조332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말(736억7519억원) 대비 1조5803억원 증가한 수치다. 전월 말 증가 폭에 비하면 반토막이다. 2월 말에는 1월 말과 비교해 무려 3조391억원 늘어난 바 있다.
전월 가계대출 증가세를 자극했던 신학기·이사철 수요가 사라진 데다 당국과 은행권이 신규 대출 및 승인 추이 등을 지역별·월별로 촘촘히 관리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중순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된 이후 집값이 급등하고, 거래량도 폭증했던 영향이 4월 이후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택 거래와 가계대출 실행에는 1~2개월 시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다주택자·갭투자자와 관련 가계대출을 다시 조이는 추세다.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제한, 갭투자 방지를 위한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제한 등을 강화한데 이어 추가 조치가 필요한지 등을 살피고 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