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산청 산불, 약 213간 만에 주불 진화…역대 2번째로 길었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불영향 구역 1858㏊…축구장 2602개 규모

산림청 공중진화대원들이 28일 오전 0시 10분께 경남 산청군에서 야간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해 약 213시간 만에 꺼진 산불이 역대 2번째로 길게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

산불영향 구역은 1858㏊로 축구장 2602개에 달하는 면적이 피해를 봤다.

지난 21일 오후 3시 26분께 산청 시천면 한 야산에서 발생한 뒤 정확히 213시간 34분 만이다.

이는 역대 최장기 산불이었던 2022년 울진 산불 213시간 43분과 겨우 9분 차이다. 2022년 울진 산불은 3월 4일 오전 11시 17분 최초 발화해 13일 오전 9시 주불이 잡혔다.

역대 3위를 기록한 2000년 삼척 산불은 4월 7일 오전 10시 32분 불이 나 15일 오전 9시 주불 진화까지 약 190시간이 걸렸다.

이번 산청 산불은 최초 발화 이후 산림당국은 ‘산불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에 나섰으나 강풍으로 화재 규모가 삽시간에 커지며 23일에는 인근인 하동 옥종면, 25일에는 진주 수곡면까지 화마에 휩싸였다.

진주지역 산불의 주불은 발화 2시간 만인 당일 오후 6시 15분께 꺼졌다.

그러나 산청·하동 산불은 계속 확산세를 보이며 26일에는 바람을 타고 산청 시천면 구곡산 능선을 넘어 지리산국립공원 일부까지 번졌다.

산불 초기 이승화 산청군수가 진화작업을 지휘했으나, 발생 당일 산불영향구역이 100㏊를 넘기면서 박완수 경남지사에게 지휘권이 넘어갔다.

23일에는 산불영향구역이 1000㏊를 넘어가며 임상섭 산림청장이 통합지휘를 맡았다.

이후 산림청과 경남도, 산청군·하동군·소방·경찰·국방부·기상청·국가유산청·국립공원공단·산림조합 등 유관기관을 총동원한 진화작업이 이어졌다.

지리산 산불은 피해 면적이 123㏊로 전체 피해 면적과 비교해 규모는 작은 편이다. 그러나 험준한 지형과 식생, 강풍 등 요인이 진화를 방해했다.

주불 진화가 완료되며 산불 관리는 지방자치단체 중심 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됐다. 도와 산청·하동 등 관계기관을 중심으로 헬기 40대를 동원해 잔불 진화를 이어간다. 이 밖에 산림청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고성능 산불진화차 등 장비도 지원된다.

잔불 정리까지 최종 마무리되려면 일주일에서 열흘가량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산림청은 5월 중순까지 봄철 산불대책기간을 운영하며 전국 지자체, 유관기관과 함께 산불 예방과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번 산불 진화가 빠르게 이뤄지지 못한 이유는 현지 특성상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헬기로 많은 물을 투하했으나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 나는 일이 반복됐다”고 말했다.

이어 “해발 900m의 높은 봉우리에는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임도가 없고, 활엽수 낙엽층과 밀도가 높은 작은 나무, 풀들로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기 어려웠다”며 “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수행한 모든 분의 헌신적 노력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진화작업 중 불길에 고립된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재민은 총 2158명 발생했으며 주택 28곳,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 등 시설 84곳이 피해를 봤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