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의대 휴학생 대거 복학
교육부, 의대생 실제 수업 여부 파악
서울의 한 의과대학 강의실 불이 꺼져있다. 곽경근 대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제시한 의과대학생 복귀 마지노선인 31일 전국 대부분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하는 가운데 상당수 의대생이 학교로 돌아오고 있다. 서울권 주요 대학 의대생들은 대부분 등록을 마쳤고, 복귀가 저조했던 지방에서도 충남대와 부산대가 전원 등록을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일단락될지 주목된다.
31일 교육계에 따르면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는 이날까지 학생 등록·복학 신청을 마감한다. 등록 마감시한이 도래하면서 의대생들이 속속 학교로 돌아올 채비를 하고 있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 의대를 포함해 고려대와 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의대 휴학생들은 대거 복학했다. 다른 의대들도 속속 복귀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경희의대는 군복무 등 휴학 사유가 있는 4명을 제외하고 전원 복학계를 제출했다. 중앙의대 학생회로 구성된 비상대응TF는 전날 밤 자체 수요 조사를 진행해 전원 등록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지난 7일 ‘3월 내 의대생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을 때만 해도 의대생들은 미복귀 휴학을 이어간다는 기조를 유지하며 단일대오를 강조해왔다. 그러나 대학 총장, 의대 학장, 교수진의 간곡한 설득과 학칙대로 엄정 처분한다는 강경 대응 방침이 겹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 변화 기류가 생겼다.
교육부는 31일까지 돌아온 의대생 복귀 규모를 다음 달 1일 최종 집계하고, 의대생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파악할 방침이다. 교육 현장에선 의대생 복귀율이 50%를 넘기면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만큼 의대생 복귀 추세가 이어진다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이전으로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