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챗GPT 달리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차량용 반도체 업계가 불황 터널에 갇혔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쇼크’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자동차·산업용 반도체 수요는 쉽게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 반도체 기업들은 투자를 보류하고 고강도 구조조정에 돌입했으나 상황은 악화일로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미국 전력반도체 기업 울프스피드의 주가가 하루 만에 52% 급락하는가 하면 일본 차량용 반도체 기업 르네사스는 구조조정에 더해 임금 동결을 선언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울프스피드는 트럼프 행정부에 반도체지원법(CHIPs ACT) 보조금 지급을 촉구하고 나섰다. 앞서 울프스피드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제정된 반도체법을 통해 약 7억5000만달러(약 1조원)를 지원받기로 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반도체법을 “끔찍한 법”이라고 비난하며 폐기 의사를 보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울프스피드가 이 보조금을 받지 못할 경우 회사가 유동성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코로나19 특수 당시 100달러를 호가하던 울프스피드 주가는 잇따른 악재에 지난 28일 하루에만 52% 급락해 2.59달러를 기록했다. 당장 내년 만기인 5억7500만달러(약 8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 상환을 위한 자금 조달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독일 정부로부터 보조금 5억유로(약 8000억원)를 받아 진행하기로 했던 신규 반도체 공장 건설도 무기한 보류됐다. 독일 자동차부품업체 ZF프리드리히스하펜과 함께 27억5000만유로(약 4조4000억원)를 들여 2027년부터 독일 공장에서 전기차 핵심 부품인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기차 시장 침체를 이유로 신규 투자를 동결한 상태다.
시바타 히데토시 르네사스 최고경영자(CEO)./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바타 히데토시 CEO는 업황이 쉽게 반등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자동차 및 산업용 반도체 시장이 여전히 침체 상태에 있다”며 “바닥은 찍은 것으로 보이지만 불행하게도 뚜렷한 회복 조짐은 없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특수에 힘입어 2023년부터 지난해 중순까지 르네사스는 일본 증시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 중 하나(170%)였으나, 업황이 바닥을 뚫고 내려가면서 9개월 만에 주가는 고점 대비 38% 넘게 하락했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전기차 시장 성장이 예상보다 급격하게 둔화하고 있어 전력반도체 업황 부진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라며 “유일한 희망으로 꼽히던 중국 시장에서는 작년부터 큰손 전기차 업체인 BYD 등이 자체적으로 전력반도체 공장을 가동하고 있어 돌파구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즈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9% 늘어난 약 1137만대에 불과했다. 판매량이 증가하기는 했으나 증가율은 2022년 75%, 2023년 30%로 크게 하락하고 있다.
최지희 기자(he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