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야놀자가 모처럼의 호실적에도 웃지 못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티메프'(티몬·위메프)사태 여파로 인해 순익에는 악영향을 미쳤다. 큐텐그룹으로부터 인터파크커머스 매각대금을 받지 못하면서 대부분의 금액을 대손상각비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야놀자는 31일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액 9245억원, 영업이익 49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약 22%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야놀자의 글로벌 솔루션과 플랫폼 거래 규모 모두 커지면서, 글로벌 통합거래액은 27조원으로 전년대비 약 186% 늘어났다. 수익성 개선에도 성공하면서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약 1782% 늘었다.
야놀자의 '캐시카우'에 해당하는 컨슈머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6712억원으로 전년대비 6.1% 증가했다. 여행시장이 위축되는 대외적 악재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620억원으로 39% 늘었다.
앞서 야놀자는 큐텐그룹에 '인터파크커머스'를 매각하고 큐익스프레스와 인터파크커머스 지분을 담보로 설정했다. 그러나 지난해 티메프 사태로 큐텐그룹이 매각대금을 치르지 못하게 된 데다, 담보로 잡은 큐익스프레스의 가치도 급락했다. 이에 야놀자는 지난해 기타의대손상각비로 약 1726억원을 처리했다.
영업권 손상도 순익에 악영향을 미쳤다. 야놀자는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데이블, 놀유니버스 투어 부문 영업권 손상으로 각각 176억원, 808억원을 인식했다.
야놀자 관계자는 "지난해는 글로벌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서 독보적인 데이터 인프라와 AI 기술을 토대로 글로벌 여행 산업을 위한 AI 서비스를 본격화하는 중요한 한 해였다"면서 "앞으로도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해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