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민주당 일각에서 내각 총탄핵이 거론되자, 여당은 내란 음모 혐의로 맞고발하며 대립하고 있습니다. 국회가 내각을 마비시키는 행위가 현실화하면, 헌법상 삼권분립에 어긋난다는 게 법조계의 중론입니다. 그렇다고 처벌까지 하는 건 쉽지 않다는데, 갈등을 풀어야 할 정치가 오히려 사법 한계까지 시험하고 있습니다.
류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무회의 구성원은 총 21명입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박성재 법무장관은 직무정지 상태고, 국방부, 행안부, 여가부 등은 공석입니다.
남은 16명 가운데 6명이 추가로 탄핵소추되면 '정족수 미달'로 국무회의 자체를 열 수 없습니다. 법안 공포, 예산 편성 등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야당이 장악한 입법부가 행정부를 마비시키는 겁니다. '내각 총탄핵'이 3권 분립을 훼손하는 위헌적 구상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차진아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행정부의 기능 마비를 노리고 국무위원들 전원을 줄탄핵 한다고 한다면은요. 삼권 분립에 위배돼가지고 입법부가 행정부를 사실상 마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다만 여당의 주장대로 야당에 내란 음모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는 법조계에서 대체로 회의적입니다.
형법상 내란죄는 '국헌 문란'이란 목적 외에도 '폭동'이란 행위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창현 /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폭동이 없었으니까 '내란을 모의했다'는거 아닙니까?… '헌법에 위반되기 때문에 탄핵을 하겠다' 이런 일종의 경고에 불과하다고…"
현행법으로는 거대 야당의 '줄탄핵'에 정부가 대응할 수단이 없는 셈입니다.
TV조선 류태영입니다.
류태영 기자(rootyoung@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민주당 일각에서 내각 총탄핵이 거론되자, 여당은 내란 음모 혐의로 맞고발하며 대립하고 있습니다. 국회가 내각을 마비시키는 행위가 현실화하면, 헌법상 삼권분립에 어긋난다는 게 법조계의 중론입니다. 그렇다고 처벌까지 하는 건 쉽지 않다는데, 갈등을 풀어야 할 정치가 오히려 사법 한계까지 시험하고 있습니다.
류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무회의 구성원은 총 21명입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박성재 법무장관은 직무정지 상태고, 국방부, 행안부, 여가부 등은 공석입니다.
남은 16명 가운데 6명이 추가로 탄핵소추되면 '정족수 미달'로 국무회의 자체를 열 수 없습니다. 법안 공포, 예산 편성 등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야당이 장악한 입법부가 행정부를 마비시키는 겁니다. '내각 총탄핵'이 3권 분립을 훼손하는 위헌적 구상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행정부의 기능 마비를 노리고 국무위원들 전원을 줄탄핵 한다고 한다면은요. 삼권 분립에 위배돼가지고 입법부가 행정부를 사실상 마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다만 여당의 주장대로 야당에 내란 음모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는 법조계에서 대체로 회의적입니다.
형법상 내란죄는 '국헌 문란'이란 목적 외에도 '폭동'이란 행위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창현 /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폭동이 없었으니까 '내란을 모의했다'는거 아닙니까?… '헌법에 위반되기 때문에 탄핵을 하겠다' 이런 일종의 경고에 불과하다고…"
TV조선 류태영입니다.
류태영 기자(rootyoung@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