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정상화' 여부로 '실질 복귀율' 따져야
지난달 31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앞에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는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정한 지난달 31일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가운데 38개 의대 학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1년 넘게 이어진 의대생들의 '동맹 휴학'은 마무리됐다. 다만 등록한 학생들의 수업 참여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1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날 기준 40개 의대 중 38곳의 의대생 사실상 전원이 1학기 등록 또는 복학 신청을 마쳤다.
‘전원 복귀’ 의대에서 빠진 2곳은 인제대와 한림대다. 이들 학교는 현재로선 학생들이 모두 돌아올지 아닐지 파악이 어려운 상태로 알려졌다.
다만 단순히 복학원 제출이나 등록금 납부가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이다. '등록 후 투쟁' 노선을 선택한 학생들이 4월부터 학교에 나오지 않을 경우 '전원 복귀' 기준에 이르지 못했다고 볼 여지도 있다.
구체적인 복귀 학생의 숫자는 정부와 대학 모두 비공개 방침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정확한 복귀 규모를 집계한 이후 수업 정상화 여부를 따져 정원을 발표할 방침이다. 대학이 정원 조정을 위해서는 이달 말까지 입시 요강 변경을 확정해야 한다. 앞으로 2~3주 이내 복귀 규모와 정원 관련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학생들이 복학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에 불참한다면 '실질 복귀율'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전원 복귀' 기준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2000명 증원이 반영된 현재 정원 5058명이 유지된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 볼 수 없다”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향후 일정에 대해서는 "복귀율 산정이나 발표 등 공식적으로 확정된 일정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