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현대차 딜러샵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결정이 이뤄진 뒤 서둘러 차량을 구입하려는 발길이 이어졌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차의 픽업트럭 산타크루즈를 살 계획이라고 밝힌 샘 알버트는 “포드와 현대의 픽업트럭을 비교해왔다”며 “관세 때문에 현대차의 가격 변동폭이 더 커질 거라고 생각해서 급하게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차도 대부분 수입 부품으로 만들기 때문에 결국 다 오르게 될 것”이라며 “포드도 현대만큼 비싸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관세 때문에 미국차가 잘 팔릴 일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현대차 딜러샵에서 만난 샘 알버트는 ″관세로 인한 차량 가격 인상 전에 현대차를 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담을 마치고 팰리세이드 차량을 시운전하려던 마이클 밀러는 “관세 때문에 당장 차값이 오르는 것은 당연하고, 이후엔 부품 등의 해외 공급이 줄어들면서 가격은 더 가파르게 상승하게 될 수밖에 없다”며 “같은 차가 하루 아침에 갑자기 25% 이상 비싸진다는 것은 경제학 교과서에서 나오지 않는 미친 짓”이라고 했다.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현대차 딜러샵에서 만난 마이클 밀러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며 차량 구입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차 세일즈 매니저 스티브 추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 직후부터 급하게 차를 사려는 고객들이 한꺼번에 몰렸다”며 “현대차의 경쟁력이 높아졌고, 특히 미국에 공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격은 상대적으로 덜할 수 있지만 가격과 관련한 어려움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대차는 딜러들에게 관세로 인해 자동차값 인상 가능성을 이미 고지했다. 현대차 내부에서는 전량을 한국에서 제조해 수출하는 제네시스 브랜드 차량이 관세에 따른 가격 부담을 상대적으로 크게 안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다.
31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일본 닛산 자동차의 딜러샵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차량 구입을 서두르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익명을 요구한 일본 업체 딜러는 “솔직히 본사에서도 가격 변동에 따른 명확한 판단이나 입장을 일선 딜러샵으로 내려보내지 못하고 있다”며 “관세가 트럼프에 의해 즉흥적으로 발표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정부의 정책이 또 언제 어떻게 바뀔지조차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신차 가격의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이어지면서 시장의 충격은 도미노처럼 중고차 시장까지 흔들고 있다.
31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한 중고차 매장.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 발표 이후 자동차 가격 인상에 대한 충격은 중고차 시장으로까지 옮겨붙고 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버지니아주의 중고차 판매 회사인 이스턴스의 딜러 로리 프레지던트는 “연쇄적인 자동차 가격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서둘러 자동차를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 중고차 시장까지 상당히 바빠졌다”며 “특히 중고차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은 한국의 현대와 기아, 일본의 토요타와 혼다 차량 등 관세에 직접 노출되는 차량에 대한 문의가 많다”고 전했다.
미국인의 필수품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에 따른 이러한 부정적 기류는 여론조사 결과에도 반영되고 있다.
31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한 중고차 매장.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 발표 이후 자동차 가격 인상에 대한 충격은 중고차 시장으로까지 옮겨붙고 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P통신이 이날 공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42%에 그쳤고, 56%는 트럼프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특히 경제 정책에 대한 부정 여론은 58%, 관세를 포함한 무역과 협상 분야의 부정 여론은 60%에 달했다.
신재민 기자 |
일각에선 지난해 대선에서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물가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며 당선됐던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경제의 '만능키'로 내세우고 있는 관세 부과에 따른 물가 상승을 막지 못할 경우 예상보다 큰 정치적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thka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