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美 관세정책 영향 조사
부품·소재 납품 협력업체 직격탄
‘보조금 불투명’ 삼성·SK 이중고
정부 “美 지목 무역장벽 대응 모색”
1일 재계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몰고 올 ‘관세 쓰나미’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지목한 비관세장벽이 우리나라에 부과될 상호관세에 얼마나 적용이 될지 누구도 예측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안다고 해도 마땅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답답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둔 1일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야적장에 수출용 차량을 실은 카캐리어가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관세 폭풍의 영향은 광범위할 예정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이날 발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간접 영향권에 속한 업종을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들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집계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둔 1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야적장에 철강 제품들이 쌓여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관세 영향이 현실화하고 있지만, 현지생산 증대나 시장 다각화 등 직접적인 대응책을 모색하는 기업은 일부 대기업이나 가능한 상황이다. 전반적인 기업 분위기는 소극적 대응에 그쳐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동향 모니터링 중’(45.5%)이거나 ‘생산비용 절감’(29.0%)이라고 답했다. ‘대응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20.8%에 달했다.
1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31일(현지시간) 공개한 ‘2025년 국별 무역장벽(NTE) 보고서’ 또한 재계나 정부 입장에선 신경 쓰이는 변수다. 해당 내용이 미국의 상호관세 결정에 반영될 수 있어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보고서에서 거론된 한국의 농산물 분야 무역장벽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으로, 현재까지 미 정부의 협상 요청은 없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농식품부는 농업계, 전문가 등과 지속 소통하면서 관계 부처와 협의해 국익을 최우선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동수·박유빈 기자, 세종=안용성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