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 경제는 탄핵 국면 와중에 미국의 관세 조치가 시행되는 등 엄중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제 정치적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산적한 경제 현안에도 진척이 있을지 주목되는데요.
보도에 김수빈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이 나온 이후 정치 불확실성은 어느정도 걷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간 기업들이나 외국인이 한국 시장에 투자할 때 정치 불안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존재했기 때문입니다.
실제 환율은 탄핵 인용 직전부터 급락해 1,430원대까지 내려앉기도 했습니다.
이제 관건은 계엄 직후 70원 가량 치솟은 환율이 수급 개선에 따라 지속적인 안정세를 되찾을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 "전 세계 무역 긴장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고 위험 회피 성향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환율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출렁거릴 가능성이…"
미국의 공격적인 관세 조치도 현재 한국 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암초 중 하나입니다.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25%로 확정되면서, 수출 환경이 그야말로 최악에 다다른 상황입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전까지 리더십 공백이 해소되긴 어려운 만큼 위기관리가 중요한 시점일 수밖에 없습니다.
당장 무너진 내수를 살리기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는 속도가 붙을 수 있단 기대도 나옵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직후에도 소비가 더 둔화된 전례가 있어 시급한 사안 중 하나로 꼽힙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 "탄핵 인용이 되면서 주도권이 국회로 넘어간 셈이 됐고 그러면 추경 속도가 좀 빨라질 거 같아서…"
정부는 대형 산불사태가 겹치면서 제안한 10조원 규모의 '필수추경'을 이번 달 내 국회 통과를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새 정부 출범까지 두달여간 남은 상황에서 국가신인도 사수에도 사활을 건 정부.
다시 한번 경제팀의 어깨가 무거워질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
#탄핵 #인용 #경제 #내수 #추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우리 경제는 탄핵 국면 와중에 미국의 관세 조치가 시행되는 등 엄중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제 정치적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산적한 경제 현안에도 진척이 있을지 주목되는데요.
보도에 김수빈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이 나온 이후 정치 불확실성은 어느정도 걷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 환율은 탄핵 인용 직전부터 급락해 1,430원대까지 내려앉기도 했습니다.
이제 관건은 계엄 직후 70원 가량 치솟은 환율이 수급 개선에 따라 지속적인 안정세를 되찾을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 "전 세계 무역 긴장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고 위험 회피 성향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환율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출렁거릴 가능성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25%로 확정되면서, 수출 환경이 그야말로 최악에 다다른 상황입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전까지 리더십 공백이 해소되긴 어려운 만큼 위기관리가 중요한 시점일 수밖에 없습니다.
당장 무너진 내수를 살리기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는 속도가 붙을 수 있단 기대도 나옵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 "탄핵 인용이 되면서 주도권이 국회로 넘어간 셈이 됐고 그러면 추경 속도가 좀 빨라질 거 같아서…"
정부는 대형 산불사태가 겹치면서 제안한 10조원 규모의 '필수추경'을 이번 달 내 국회 통과를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새 정부 출범까지 두달여간 남은 상황에서 국가신인도 사수에도 사활을 건 정부.
#탄핵 #인용 #경제 #내수 #추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