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세에 상호관세 추가…철강·알루미늄, 부품 관세도 영향
현대차그룹 등 완성차 업계 미국 현지 생산 확대 채비에 영세 협력사 '긴장'
미국 생산 늘려도 관세에서 자유롭진 못해…빠른 현지화 확대는 쉽지 않을듯
현대차 HMGMA[현대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시작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에 또 한번 충격파가 가해졌다. 당초 이날부터 적용될 예정이던 수입산 자동차 대상 25% 관세에 상호관세까지 더해져 관세율이 더 높아진 탓이다.
지난달부터는 철강·알루미늄 등 차량 제조용 핵심 원자재에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여기에 다음 달 부과 가능성이 높은 차량용 주요 부품 관세(25%)까지 추가될 경우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트럼프발(發) 4중 케이지(철망)에 갇힌 채 급격히 경쟁력을 잃을 우려가 크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파상 공세에 완성차 업체와 대다수 부품 업체는 그로기 상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 물량을 늘리는 식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다만 지난해 전체 생산량 중 95%를 미국에 수출한 한국GM의 경우 생산 물량 감소를 넘어 아예 한국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꾸준히 제기된다.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업체도 고민이 깊다. 미국 생산을 확대하더라도 관세 여파를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준공한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능력을 연 50만대로 늘리기로 하면서 현대차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공장(연 36만대), 기아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 공장(연 34만대)을 더해 미국에서 연간 12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그러나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내 차량 판매량(170만7573대)을 감안하면 최소 50만대 이상은 고율 관세 부담을 지고 수출을 해야 한다.
그나마 현대차 산타크루즈·투싼·아이오닉5, 기아 스포티지·소렌토·텔루라이드 등 북미에서 판매량이 많은 차종은 부품 현지 조달 비율이 50~60%에 이르고 조립도 주로 미국 공장에서 이뤄진다.
자동차 관세와 상호관세, 철강·알루미늄 등에 붙는 관세에 자동차 부품 관세까지 4중고에 처한 상황이라 어떤 식으로든 현지 조달 비중을 높여야 하지만 대당 소요되는 2~3만개 부품 공급처를 단기간 내에 바꾸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결국 상당 기간 관세로 인한 타격을 견뎌낼 수밖에 없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볼트 등 기성품 외에 상당수 부품은 내구성·성능 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공급이 이뤄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최소 1년 이상 소요된다"며 "당분간은 국내 협력사 부품을 미국으로 수입해 쓰겠지만 순차적인 비중 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