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발표 이전인 1분기 수출 이미 마이너스…정부, 협상 통해 세율 인하에 주력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일 미국이 결국,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에 25% 상호관세 폭탄을 투하했다.
한미FTA로 사실상 무관세였던 미국 수출에 25% 관세가 일거에 부과되면서 우리나라 제품의 미국 내 가격 경쟁력이 급속하게 추락하게 됐다. 미국이 우리나라 핵심 교역국이자 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수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심대할 전망이다.
이미 우리나라 수출은 상호관세 발표 전인 올해 1분기부터 위축을 겪었다. 지난해 1분기보다 2.1% 감소한 1599억 2천만 달러에 그쳤는데, 분기 수출액이 전년 같은 분기보다 감소하기는 2023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13일(현지 날짜)부터 25% 관세가 부과된 철강 수출도 지난해 1분기보다 6%가량 줄었다.
우리 정부는 미국과 적극 협상으로 우리에게 부과된 관세율을 낮추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24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안덕근 장관 방미 결과를 설명하면서 "주요 경쟁국들이 받은 세율 등을 검토하면서 우리나라 세율을 낮춘다든지, 아주 바람직하게는 상호관세를 없애는 협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나라와 미국 간 협상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율과 함께 자동차 및 철강 등 품목별 관세율을 낮추는 데 협상의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3일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열고 "글로벌 관세 전쟁이 현실로 다가온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통상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