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위치 안내 서비스 873만 건으로 가장 많은 이용
"쉽고 편리한 여행 위해 끊임없이 개선"
KTX청룡 모습. 2024.4.22/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모바일 앱 '코레일톡'이 다양한 교통 관련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마스'(MaaS·Mobility as a Service)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이용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일 코레일에 따르면 코레일 마스는 지난해 6월 첫 서비스 시작 이래 10개월 만에 누적 이용 건수 944만건을 돌파했다.
열차위치 서비스 이용건수 가장 많아
코레일톡 마스 기능에서 가장 많은 사용건수를 기록한 것은 '열차위치' 서비스로 누적 이용건수가 873만 건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KTX를 포함한 전국 모든 열차의 실시간 위치와 예상지연 시간을 알 수 있다. 철도 선로와 역만으로 이뤄진 철도전용지도에 표시돼 전국을 오가는 열차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코레일은 역에서 역까지만 운송하는 미들마일(Middle Mile) 서비스에서 벗어나,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원스톱 여행이 가능하도록 코레일 마스를 확대하고 있다.
좌석, 수유실, 화장실, 자판기 등 열차 내부 편의시설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열차 내 미리보기'(AR) 서비스의 누적 이용객 수는 500만 명을 넘어섰다.
코레일톡 열차내 미리보기 서비스 화면.(코레일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해외 관광객 서비스도 지속 확대
코레일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해외 관광객을 위한 서비스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이를테면 세계 각국의 항공사와 연계한 '항공-철도 연계 발권 서비스'(Rail&Air)가 있다. 연계 발권 서비스 이용객은 지난해 대비 79%가 늘어난 1500명을 기록했다. 코레일은 상반기까지 대상 역을 9개에서 14개로 늘리고, 제휴 항공사도 지속 추가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코레일은 인공지능(AI) 챗봇과 대화하며 열차 승차권을 예약하고 맞춤형 상담을 진행하는 '장애인 전용 AI음성챗봇' 서비스도 시작했다. 저시력, 노안 사용자를 위해 큰 글씨로 제공하는 '쉬운 모드' 기능도 도입 예정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이용자 입장에서 여행이 쉽고 편리해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코레일톡을 개선해나가고 있다"며 "국내 관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dkim@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