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이후로 누군가는 소위 스타 정치인이 됐으며 또 누군가는 사실상 정치적 은퇴 위기에 내몰렸다. 역사책의 한 페이지에 기록될 이번 사태는 정치권과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흔적을 남겼고, 탄핵 사태와 헌법재판소 심판 과정에서 여권과 우파진영에서는 뜻밖의 새로운 인물들이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12월 중순 경 원내 야권 주도로 국회에서의 탄핵소추안 가결 처리 이후 약 100여일 가량 진행된 헌재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이제 종국 선고 만을 남겨두게 됐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종결 이후 헌재가 38일만에 선고기일을 지정 표명하면서 이는 역대 최장 기록이 됐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 탄핵심판 변론 종결 이후 헌재의 종국 선고에 이르기까지 총 14일이 소요됐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역시 동일 기점으로부터 11일 만에 종국 선고가 이루어졌다.
그에 비하면 윤 대통령의 경우 최장 기록인 셈이다. 윤 대통령은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윤 대통령의 선고기일 불출석 사실을 알렸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TV로 탄핵 심판 선고 생중계를 지켜볼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은 헌재에 직접 출석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마지막 헌재의 변론기일에 직접 출석해 "12·3 비상계엄은, 과거의 계엄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서 "무력으로 국민들을 향하여 억압하는 그런 계엄이 아니고 계엄이라는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라고 강조했다. 즉, 거대 원내 야당의 원내에서의 횡포 등을 알리기 위한 일종의 고육지책이었음을 주장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 대통령 좋아했습니다. 시키는 거 다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그 명단을 보니까 그거는 안 되겠더라고요"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회의록 중에서 안규백 위원장의 질의에 대한 홍장원의 답변이다.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국회 진술은 많은 사람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평생을 군과 국정원에서 보낸 사람의 입에서 저런 발언이 나온 것이 충격이었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벌어져서는 안될 일”이라는 일갈은 원래 야당 시민사회 재야의 몫이었다. 그런데 국정원에서도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 신념인 사람이 있구나 하는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된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사 일타강사로 유명한 전한길 강사는 '쌍권 위에 쌍전'으로 불린다. '쌍권'은 국민의힘 권영세·원내대표 권성동을, '쌍전'은 광화문 탄핵반대 집회를 총괄적으로 이끌고 있는 전광훈 목사와 전한길 강사를 가리킨다. 연봉 66억원을 포기하고 가족들이 눈물로 만류하는 데도 불구하고 ‘윤석열 구하기’에 몸을 던진 그는 보수 시위 군중을 불타오르게 했다. 그는 온 몸을 던지는 열정적인 목소리, 해방전후사 등 해박한 현대사를 배경으로 한 논리적이고 설득력이 강한 내용으로 군중을 사로잡았다. 앞으로 정계에 나간다면 성공이 보장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정치인 변신에 대해서 강하게 부인한다. 일부 여당 국회의원들도 탄핵 과정에서 국민의힘이 이렇다 할 인상적인 활동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역풍을 맞을 위험을 무릅쓰고 윤 대통령 지원에 나서 우파 시민들과 호흡을 같이했다.
남윤정 기자 yjna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