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정치인생
조국 수사 계기 보수 잠룡
정계입문 1년만에 대권 잡아
김 여사·명태균 논란 여론악화
작년 ‘12·3 비상계엄’ 자충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의 수호자’를 자처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결국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라는 자충수로 정치 무대에서 퇴장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한마디로 일약 스타검사 반열에 올라 단숨에 대권까지 거머쥐었지만 지지율 급락과 여야 갈등 속에 대통령 임기 1060일만에 첫 검사출신 대통령 시대가 막을 내렸다.
◆정치 입문에서 당선까지
윤 전 대통령의 정계 입문은 전광석화와 같았다. 2021년 3월4일 자신을 발탁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를 계기로 멀어지며 검찰총장직을 자진 사퇴했다. 그해 6월29일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고 한 달 뒤 국민의힘에 전격 입당하며 정계에 공식 입문했다. 정계 입문 불과 석달만에 국민의힘 2차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로 선출되며 제1야당의 대선 주자가 됐다. 2022년 3월9일 제20대 대선에서 역대 최다 득표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0.73%포인트라는 역대 최소 득표율차로 누르고 첫 선거 도전에서 대통령이 되는 파란을 일으켰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검찰총장 당시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983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고시 9수 끝에 34세(1994년)라는 늦깎이 검사로 공직의 길에 들어선 그는 2013년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사건의 수사팀장을 맡으며 인생의 변곡점을 맞이했다. 박근혜정부에서 원세훈 당시 국정원장을 수사하려다 ‘윗선’의 눈밖에 났고 여기서 물러서지 않고 자신의 소신대로 수사를 밀어 붙였다. 그 결과 대구고검으로 좌천됐지만 이후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오늘도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것”이라며 당당하게 권력의 수사외압을 정면 폭로하며 전 국민에게 이름 석 자를 알렸다. 이후 지방 한직을 전전했지만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검팀에 합류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2022년 1년간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로 이직 했던 윤 전 대통령은 ‘대검 짜장면’ 냄새가 그리워 검찰로 돌아왔다.
윤석열 전 대통령(왼쪽),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불통·독선 비판, 계엄으로 몰락
2년11개월로 중도 하차한 윤석열정부의 성적표는 초라했다. 취임 초 미국의 백악관 참모동인 ‘웨스트윙’ 모델을 표방하며 청와대를 나와 서울 용산구로 집무실을 이전했고, 아침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문답을 나누는 ‘도어스테핑’을 도입하는 등 국민과의 소통을 늘렸다. 덕분에 2022년 5월2주 한국갤럽 기준 52%의 지지율로 출항했지만 2022년 8월 만5세 초등학교 입학 추진으로 첫 지지율 하락을 겪은 뒤 9월 미국 순방 중 발생한 비속어 파문으로 ‘불통’ 이미지가 부각되며 직무 긍정률은 24%까지 하락했다.
그해 말부터 지난해 초까지 20%대 중반에서 30%대 후반 사이를 오가던 지지율이 4월 총선 참패 후 20%대 초반으로 추락했다. 이후 국정 과제로 내세웠던 ‘4대 개혁’ 중 의대 증원을 강조하며 드라이브를 걸며 반전을 꾀했지만 결과는 의료대란으로 번져 아직도 봉합되지 못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왼쪽), 부인 김건희 여사.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지난해 10월 국정감사를 기점으로 부인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문제가 대통령 직무 부정평가 이유 상위에 오르며 정권에 치명적 암운이 드리웠다. 대선 전 조용한 내조를 약속했지만 정권 곳곳에서 비선실세의 흔적이 논란이 됐다. 여기에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를 둘러싼 의혹까지 겹치면서 윤 전 대통령의 마지막 정치적 자산마저 소진됐다.
보수 유튜브 채널에 깊이 몰입하며 여론에서 점차 멀어졌다. 기자회견 횟수를 늘리고, ‘김치찌개 만찬’ 등 언론 접촉을 강화했지만 끝내 간극을 좁히지 못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로 권력 기반을 강제로 확보하려 했으나 이는 국회의 저지로 무산됐다. 계엄으로 11%(2024년12월2주)까지 폭락했던 지지층 결집에는 성공했으나 국가를 ‘통합’이 아닌 ‘분열’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피하기 어렵게 됐다.
국정평가에서 성과로 꼽혔던 외교안보 분야도 일본과의 관계 개선와 미국과의 동맹 강화는 계엄 사태를 겪으며 빛이 바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국정 공백으로 인해 한·미 정상회담 조차 요원해진 사이 관세전쟁이 본격화 돼 그간 받았던 평가도 퇴색했다. 특히 북한과 중국과의 관계 악화도 비판을 받는 한 대목이 됐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