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정부가 모든 미국산 제품에 34%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보복전에 나섰다. 34%는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매기겠다고 한 상호관세율이다. 또 11개 미국 기업에 대한 중국 거래를 금지하고, 첨단 기술의 핵심 광물인 희토류 수출 제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관세 폭격을 날린데 이어 중국이 강력한 보복전에 나서면서 글로벌 관세 전쟁이 극한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발 관세만으로도 미국 뿐 아니라 세계 각국 경제가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 주요 2개국(G2)이 통상전쟁으로 정면 대결에 나서면 글로벌 경기 침체 그림자가 더욱 짙어질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되는 것이다.
일본 닛케이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만으로도 미국·유럽·일본 증시에서만 하루 동안 약 3조5000억 달러(5100조 원)이 사라진 것으로 집계했다. 이 중 3조1000억 달러(4500조 원)가 뉴욕 증시에서 이탈한 자금이었다.
●중국 34% 관세에 희토류 통제 보복전
또 중국 상무부는 사마륨·가돌리늄 등 중국산 희토류 7종의 수출 통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희토류는 스마트폰부터 전기자동차까지 첨단 기술 제품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이다. 중국이 세계 희토류 생산의 80~90%를 차지하고 있어 중국의 강력한 무역 전쟁 무기로 활용되온 바 있다.
● “세계경제 침체 확률 60%”…韓도 0% 대 성장 우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후 보편관세 20%, 상호관세 34%로 총 54% 관세를 추가 부과하겠다고 밝혔지만 반도체와 의약품, 구리 등 자국 산업에 치명적인 품목에 대해선 상호관세에서 배제했다. 반면 중국은 반도체 의약품 등 모든 제품에 대해 미국에 34%를 매기겠다고 해 보복 수위를 높였다.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 직후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 선물은 약 3% 하락으로 낙폭을 키웠다. 전날 나스닥 종합지수가 5.97% 하락하며 2002년 3월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한데 이어 이번에는 중국발 관세 충격을 받은 것이다.
관세 전쟁 외에도 중국은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국가 신용등급을 18년 만에 기존 ‘A+’에서 ‘A-’로 하향조정하는 등 심각한 부채가 발목을 잡고 있는 상태다. 미국의 침체 가능성까지 제기돼 JP모건은 3일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을 기존 40%에서 60%로 높였다.
한국의 양대 수출 시장인 미중 보복전으로 한국 수출의 미래도 안갯속에 빠지게 됐다. 씨티는 이날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0%에서 0.8%로 0.2%포인트 낮췄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관세의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보다 커진 것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강우석 기자 wskang@donga.com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뉴욕=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