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식목일에 개인 텃밭 주고, 직원 생일엔 떡 돌리는 ‘이 회사’[복지좋소]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기반 표절검사 ‘카피킬러’ 운영사 ‘무하유’

도심 속 ‘무하농장’ 운영…수확 기쁨 나눠

축구부터 뜨개질까지 ‘무하클럽’ 활동 지원

점심·저녁 식대 지원, 도서 구매비 무제한

연봉보다 근무시간, 인지도보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일하고 싶은 기업’의 기준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회사를 선택하는 최우선 기준으로 ‘복지’를 꼽는 MZ세대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스타트업에도 복지 좋은 곳이 많습니다. ‘복지좋소’(복지 좋은 중소기업)는 매주 토요일마다 이런 기업을 소개합니다. <편집자주>

무하유 직원들이 ‘무하농장’ 텃밭을 가꾸는 모습. (사진=무하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서울 성동구 오피스 밀집 지역의 한 건물. 매년 4월 5일 식목일이면 이곳 테라스가 분주해진다. 모종삽을 하나씩 든 직원들은 흙을 골라 모종을 심고 텃밭을 가꾸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른다. 1년 내내 직원들이 테라스를 오가며 키운 방울토마토, 상추, 바질, 루꼴라 등 각종 채소는 수확 후 다른 직원들의 밥상에 올라가기도 한다. 인공지능(AI) 기술 기업 ‘무하유’가 운영하는 ‘무하농장’ 풍경이다.

무하유는 매년 초봄에 직원들을 대상으로 회사 테라스에 마련된 무하농장 텃밭을 무료 분양한다. 분양받기를 희망하는 직원들이 원하는 모종을 신청하면 회사에서 텃밭을 배정하고 모종을 나눠준다. 모종을 심은 직원들은 근무하다 테라스에 나가 개인 텃밭에 물을 주며 재충전한다. 작물이 자라면 직접 수확하는 성취감도 맛볼 수 있다.

직원들이 저마다의 텃밭을 가꾸고 수확물을 나누는 과정은 무하유가 일하는 방식과 닮아있다. 이 회사는 개인의 성장이 곧 조직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업무방식을 지향한다. 각자 주도적으로 일하면서도 개개인의 성장과 발전이 조직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눈다.

무하유는 모든 구성원이 함께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업무 시스템인 ‘동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직원들을 위한 정보가 모여 있는 곳, 마을의 중심이라는 의미에서 동사무소라는 이름을 붙였다. 단순히 게시판 방식의 인트라넷이 아니라 ‘위키’(사용자들이 내용을 수정·편집할 수 있는 웹사이트) 방식을 따왔다.

무하유 관계자는 “통상 기업에서 상향식으로 문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무하유는 누구나 문서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했다”며 “누가, 언제, 어떻게 수정했는지 보이도록 구성해 회사의 성장 기록을 남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하유 업무 시스템 ‘동사무소’ 이미지. (사진=무하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무뿐 아니라 조직 문화를 만드는 과정에서도 직원 주도의 활동을 장려한다. 각기 다른 팀의 직원들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송년회 등 사내 행사를 기획한다. 직원들의 친목 도모와 자기계발을 위한 동아리 활동도 적극 지원한다. 축구, 클라이밍, 뜨개질, 크로스핏 등 다양한 동아리가 ‘무하클럽’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생일을 맞은 직원에게는 2시간 조기퇴근 혜택과 함께 선물을 제공한다. 회사에서 생일떡을 맞춰 직원 집에 배송하는데 부모님, 배우자와 함께 축하와 기쁨을 나누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밖에 무하유는 △3년 근속 시 3일 유급 휴가 제공 △성장에 필요한 도서 구매 비용 무제한 지원 △점심·저녁 식대 지원 △야근 시 택시비 지원 △2시간 단위의 자유로운 연차 사용 등 다양한 복지 제도를 운영 중이다.

무하유 관계자는 “조직문화는 한 번 정해지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하며 변화한다”며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협력하고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무하유는 AI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 AI 기반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 대화형 AI 면접 솔루션 ‘몬스터’ 등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카피킬러는 논문 표절 등을 걸러낼 수 있어 국내 대학의 96%가 이용 중이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국내 최초로 챗GPT 등 생성형 AI 활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솔루션 ‘GPT킬러’를 출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