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 임종철 디자인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탄핵 심판이 마무리됐지만 관광업계의 우려는 여전하다. 단체·개별 관광이 집중되는 서울의 대규모 시위가 그치지 않고 있어 올해 내외국인 관광객이 모두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6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2월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중 중국(-0.8%)과 홍콩(-14.6%), 말레이시아(-14.8%)의 관광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모든 국가 중 관광객 수·소비 1위인 중국인 관광객이 1~2월 우리나라를 많이 찾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타격은 더 클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면세점협회는 2월 면세점 방문객을 210만명으로 조사했는데 이는 2023년 9월 이후 최저치다.
우리나라 국민의 국내 관광도 줄었다. 2월 내국인 방문자수와 내국인 관광소비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4%, 5.0% 감소했다. 지역 거주자들이 선호하는 서울 여행이 얼어붙은 영향이 컸다. 서울 종로구는 최근 탄핵 사태의 중심 지역인 재동 헌법재판소 인근 상점의 매출이 50~80% 줄었다고 밝혔다. 적자를 견디다 못해 폐업을 고려중인 업장도 있었다.
특히 소비규모가 큰 단체관광객이 줄어들었다는 점이 문제다. 도로통제로 단체관광객을 수송하는 차량의 이동이 불편하다는 점과 콘텐츠 체험이 어려워졌다는 점, 비용 증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탄핵선고일인 4일에는 경복궁과 창덕궁, 고궁박물관 등 서울의 주요 궁궐과 박물관이 문을 닫으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0'에 가까웠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추세라면 올해 관광업계의 외국인 방문객 목표치인 코로나19 이전 2019년 수준(1750만명) 회복도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해 12·3 계엄 사태 직후 사우디아라비아 왕자 일행이나 일본 수학여행 단체가 방한을 취소한 것 같은 사례가 또 나올 수도 있다. 관광시장의 새 동력으로 추진 중인 MICE(국제회의산업) 인프라도 대부분이 서울에 집중돼 있다.
여행 플랫폼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최대 강점은 '안전하고 깨끗한 여행지'라는 이미지지만 계엄 사태 이후 흔들리는 분위기"라며 "민·관 합동으로 방한 심리 회복을 위한 움직임에 나서는 한편 주요 여행지의 안전 대책 마련에도 힘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진영 기자 jahiyoun23@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