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일 전 검찰총장, 박영선 등과 대담
"尹, 검찰의 역할 정리할 시간 없었다"
"탄핵, 법리상 명백…빠른 결론 예상"
8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에서 열린 특별강연 후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문무일 전 검찰총장, 유재만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가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전 총장은 "검찰총장을 하려면 조직을 어떻게 끌고 가고, 검찰이 국가와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머릿속을 정리하는 기간이 필요한데 (윤 전 대통령은) 그럴 시간이 없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언젠가 검찰총장을 할 테니 서두르지 말라고 양해를 구했고, 본인도 동의했다. (정부의) 여러 인사들에게도 윤 전 대통령은 세 번째 검찰총장을 하는 것이 맞는다고 설명했다"고 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의 검찰총장 선임을) 반대했다기보다는 대안을 제시했고, 제 입장에서 충분히 납득시켰다"면서도 "마지막에 (결정이) 뒤집어져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같은 해 7월 25일 제43대 검찰총장으로 임명됐다.
문재인 정부 시절 반대 입장을 밝혔던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를 두고는 "수사를 독자적으로 하는 문제만큼은 반대한다. 민주주의에 해롭다"면서 "누가 옳아서가 아니라, 반드시 (다른) 누군가 있어야 한다. 수사는 리뷰해야 하고, 절차를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문 전 총장은 재임 시절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와 관련해 "엉뚱한 부분에 손을 댔다"는 소신을 보였다.
박 전 장관이 '최근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어떻게 보셨느냐'고 묻자 문 전 총장은 "법리상 너무 명백하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재판관들이) 결정문을 쓰실 때 가치평가 부분을 굉장히 절제하셔서 고맙게 생각했다"면서 "법률가가 답을 내리며 선악이 느껴지는 표현을 하면 안 된다. 가치평가적 이야기를 하는 건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문 전 총장은 대통령 탄핵과 전직 대통령 구속 등이 반복되는 데 대해서는 "민주주의 시대인데 '제왕적 대통령제'를 유지하는 것이 웃기고 신기한 일"이라며 "권력에는 통제가 따라와야 하는데 우리 사회의 통제 시스템이 약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