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조건부 해산' 총회 열려했으나 실패
재건축 선회하려 해도 빚 승계 불가해 쉽지 않아
성원대치2단지아파트에서 리모델링 조합 해산을 두고 조합과 주민들간 갈등을 빚고 있다. /더팩트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 | 공미나 기자] 서울 강남구 개포동 성원대치2단지아파트가 리모델링 사업이 18년째 표류하고 있다. 주민들은 리모델링 조합을 해산하고 재건축으로 선회를 바라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조합 해산을 두고 조합과 주민이 갈등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조합은 사업을 위해 건설사에 빌려 쓴 대여금을 주민들이 나눠 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주민들은 사용처를 명확히 밝히지 않은 금액을 나눠 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 18년째 표류한 리모델링 사업
이후 2022년 9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수직증축을 불허하며 사업이 발목잡혔다. 새로운 시공사도 시공권을 반납하며 사업은 동력을 잃었다. 이 과정에서 2023년 6월 DL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2023년 6월 조합을 상대로 한 대여금 반환 소송에서 승소했다. 이에 조합은 두 건설사에게 대여금을 다 갚는 날까지 매년 연 15%의 금리를 적용한 지연이자를 갚아야 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이에 지난 2월 리모델링 조합 해산추진위원회(해추위)가 조합 해산 총회를 열려고 했다. 그러나 법원이 조합에서 낸 총회 금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총회가 취소됐다.
주민들과 리모델링 조합은 각각 다른 이유로 지난 2월 22일과 지난 4월 3일 조합 해산 총회를 열려고 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사진은 주민들이 총회에 상정하려 했던 안건(위)과 조합이 총회에서 상정하려 했던 안건. /독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주민들 "사용처 밝히지 않은 돈, 함께 갚을 수 없어"
이후 조합이 지난 3일 청산금을 주민들이 나눠 내는 데 동의한다면 조합을 해산하는 것을 안건으로 상정하는 총회를 열려고 했으나 정족수 미달로 실패했다. 조합이 내민 청산계획서에 따르면 주민들은 청산금 117억을 약 800만 원씩 나눠내야 한다. 그러나 주민들은 연 15% 이자를 포함한다면 갚아야 할 돈은 총 180억원, 실제 나눠 낼 돈은 1000만원 이상으로 추산한다.
또한 주민들은 DL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채권추심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주민들은 "건설사들이 이자장사를 한다는 의심을 받기 싫다면 판결문대로 강제집행을 하라"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조합장을 비롯한 조합 임원들 주민들의 연락을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한 입장을 듣기 위해 리모델링 조합장에게 연락을 취했으나 "지금은 (조합 업무를) 하지 않고 있다"며 답변을 피했다.
성원대치2단지는 2008년 리모델링 조합을 설립했지만 18년째 리모델링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더팩트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적용법 다른 리모델링·재건축…"제도 개선 필요해"
문제는 매몰 비용이다. 도시정비법을 따르는 재건축과 달리 리모델링은 주택법을 따른다. 적용되는 법이 다른 만큼 리모델링 조합이 해산하고 재건축 조합을 만들더라도 기존 조합의 채무를 새로운 조합에게 승계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이태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주민 다수가 동의를 한다면 리모델링 조합이 재건축 조합으로 갈아탈 수 있는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mnmn@tf.co.kr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