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내란 프레임’ 씌우기
의사봉 넘기는 이재명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대표직 사퇴 의사를 밝힌 뒤 박찬대 원내대표에게 의사봉을 넘기고 있다. 이날부터 박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직을 맡게 됐다. /남강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파면된 이후 더불어민주당과 노조 등 좌파 진영을 중심으로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 진영을 ‘내란(內亂) 세력’으로 규정하는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이들은 헌법재판소가 헌법과 계엄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한 ‘12·3 비상계엄 6시간’뿐 아니라 윤 전 대통령 재임 기간 3년을 사실상 ‘내란 통치 기간’으로 규정하고 관련 정책 등에 대한 청산을 주장하고 나왔다. 이에 더해 계엄 해제 이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등 정부 인사들의 의사 결정을 두고도 “내란 동조 행위”라며 이번 대선을 내란 종식의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한다. 국민의힘 등에선 “대선을 유리한 구도로 끌고가기 위해 윤석열 정부 집권기 전체를 내란 프레임으로 엮으려는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지난 8일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윤석열 파면은 12·3 내란 종식이 아닌 신호탄에 불과하다”며 검찰, 국가정보원, 대통령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수사를 촉구했다. 윤석열 정부 권력 기관에 대한 일종의 적폐 청산 수사를 촉구한 것으로 해석됐다. 민주당에선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대통령이 헌재(憲裁)의 탄핵 인용으로 직을 상실한 경우 대통령 수사와 관련된 대통령기록물에 대해서는 보호 기간을 두지 않고 공개할 수 있게 하는 대통령기록물 관리법 개정안도 발의한 상태다. 사실상 윤석열 정부 3년 치 기록물을 언제든 열어보고 수사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그래픽=백형선 |
민주당은 한덕수 대행의 권한 행사를 두고도 “내란”이라고 공격하고 있다. 한 대행이 오는 18일 퇴임하는 대통령 몫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 후임에 이완규·함상훈 2명을 후보자로 지명하자, 전현희 민주당 최고위원은 9일 당 회의에서 “내란 세력들이 헌재를 장악하려는 음모”라고 했다. 한 대행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에 반대했지만, 민주당은 “내란 대행”이라고 공격하며 그의 권한 행사를 “제2의 내란 획책 음모”라고 했다. 민주당은 앞서 자기들이 추천해 국회에서 선출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을 촉구하면서는 한 대행을 향해 “임명하지 않으면 내란 수괴”라고 했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을 주장했던 단체 ‘촛불행동’은 내란 행위자 처벌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100만인 서명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내란 행위자 특별조사위원회와 특별재판부를 설치해 내란 주범, 가담자, 선전자를 발본색원할 때까지 조사·처벌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이 대선에 승리하는 것을 상정하고 국민의힘 등을 대상으로 차기 정부 출범과 함께 ‘내란 청산’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박수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