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한령 해제 기대에 21일, 에이스토리 주가 30% 급등
스튜디오드래곤 18.32%·콘텐트리중앙 24.72% 상승
에이스토리, 상한가 기록 후 22일도 상승세 이어가
“자체 IP 많을수록 높아지는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
[각 드라마 공식 홈페이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넷플릭스 천하였던 드라마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불 예정이다. 중국의 한한령(한류제한령) 해제 기대감과 함께 국내 드라마 제작사들의 지적재산권(IP) 수출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넷플릭스가 정식으로 서비스되지 않는 국가다.
최근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이르면 5월 한한령을 풀 것으로 전해졌다. 종종 언급된 한한령 해제 가능성이지만 3월 중국의 문화사절단 국내 방문 소식까지 나온 가운데 이번에는 다르다는 분위기다.
이에 드라마를 제작, 유통하는 미디어 관련주가 크게 올랐다. 중국 시청자의 K-콘텐츠 소비는 수출 확대로도 이어지는 부분이라 시장에서는 미디어업계에 호재라고 보고 있다.
특히 에이스토리는 지난 20일에 이어 21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21일 에이스토리 주가는 전장 대비 1.18% 오른 9470원에 마감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대중에게 눈도장을 찍은 드라마 제작사 에이스토리는 이후에도 킹덤, 유괴의날 등 웰메이드 드라마사로 입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그러면서 우영우를 비롯한 ▷빅마우스 ▷유괴의날 ▷모래꽃 ▷크래시 등의 IP를 현재 중국과 협상 중이거나 준비하는 드라마로 추정했다.
이처럼 많은 자체 IP를 보유해야 하는 이유는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신 연구원은 “우리가 중국에 기대할 수 있는 점은 (단기)구작 판매, (중기)동시 방영, (장기)오리지널 또는 공동제작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중국 동시방영 작품 조건으로는 전 편 사전 제작·광전총국의 허가·귀신/미신 연관된 내용 금지 등이 있다.
그러면서 수혜를 온전히 받을 수 있는 제작사의 조건으로 ▷IP 직접 보유 ▷캡티브(계열사 사이 내부 채널) 채널 확보로 연간 최소 10편 이상 작품 안정적 제작 가능 ▷글로벌 OTT와의 협상(유통) 및 과거 중국향 판매 이력을 꼽았다.
그러면서 지 연구원은 “다수의 구작 IP 축적 및 신작 IP를 기획 중인 대형 스튜디오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국내 대표 대형 스튜디오인 스튜디오드래곤은 최근 ‘별들에게 물어봐’로 겪은 부진을 ‘스터디그룹’으로 회복하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이후 ‘미지의 서울’과 ‘폭군의 셰프’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