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치맥 즐기고 운동 안 하고,비만·당뇨 건강지표 사상 최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야근·회식에 고콜레스테롤혈증 급증

복지부 조사에서 만성질환 앓는 성인 비율 ↑

'만병의 근원' 비만 유병률은 3명 중 1명 수준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률 등도 꾸준히 올라가

걷기 실천 갈수록 하락, 아침 결식 상승세

생활습관 불량, 20~30대 두드러져

이대로 가면 10~20년 후 더 문제

"범정부 대책 만들고 기업도 나서야"

최악으로 치닫는 국민 건강 3제 ① 성인 만성질환 위험 최고

중앙일보

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성인 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만성질환이 오래 되면 심장 등 몸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 사는 회사원 노 모(31) 씨는 지난해 건강검진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을 받았다. 의사에게 ”다른 곳은 별문제가 없는데 혈중 콜레스테롤이 너무 높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건강 악화의 주요 원인은 '치맥’이었다. 혼자 자취하는 그는 매주 3~4차례 퇴근길에 집 앞 가게에서 치킨을 포장해와 캔맥주와 함께 먹었다. 부서 회식과 술자리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였다. 조 씨는 ”콜레스테롤이 높다는 진단을 받은 후 내장이 많은 순대국과 치킨 섭취를 줄였다. 올해 건강검진을 또 받아야 하는데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조 씨처럼 영양 섭취 불균형과 음주, 운동 부족 등이 겹치면서 각종 건강지표에 적신호가 켜졌다. 만성질환의 주된 원인인 비만 비율이 증가하고, 고혈압ㆍ고콜레스테롤혈증ㆍ당뇨병 유병률(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비율)도 급증한다. 보건복지부는 6일 국민건강영양조사(2016년)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1만명을 조사하며 가장 권위있는 건강지표이다.

중앙일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30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37%로 집계됐다. 2005년 34.8%에서 2010년 33.9%에서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비만은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말한다. 2014년 남성의 비만율은 39.5%에서 지난해 43.3%로, 여성은 25.7%에서 30%로 악화했다.

중앙일보

성인 3명 중 1명 이상은 배 나온 비만 인구로 조사됐다. 비만은 각종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만이 늘면서 만성질환도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 유병률은 2010년 26.8%에서 지난해 29.1%로 올랐다. 특히 남성은 2015년 32.6%에서 지난해 35%로 상승했다. 당뇨병 유병률도 1년 새 남녀 모두 1%포인트 이상 올랐다. 상승 폭이 가장 두드러지는 건 고콜레스테롤혈증이다. 기름진 음식을 먹어서 생기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1년 새 2%포인트 올랐다. 특히 남성 유병률이 19.3%로 급증하면서 여성(20.2%)과의 차이가 1%포인트 미만으로 줄었다.

건강이 악화되는 이유는 좋지 않은 생활 습관 때문이다. 하루 30분 넘는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한 비율은 2010년 41.1%에서 지난해 39.6%로 떨어졌다. 성인 10명 중 6명은 주중에 거의 걷지 않는다는 의미다. 특히 남성은 40.6%(2005년 62.4%)로 최근 10년 새 가장 낮다.

중앙일보

바쁜 회사일과 건강 인식 부족 등이 운동 실천을 방해하고 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쁜 직장생활과 피로 누적, 건강 인식 부족이 운동 부족을 부추긴다. 회사원 최기준(32) 씨는 ”주중엔 거의 야근을 하거나 부서 회식, 외부 약속 등이 빡빡하게 잡혀 있어서 헬스장에서 가는 걸 상상도 못 한다. 주말에도 밀린 잠을 자거나 잔무를 처리한다고 여유 있게 운동할 시간이 없다“고말했다.

아침을 거르고 있는 성인도 갈수록 늘고 있다. 2005년 21.1%였던 아침 식사 결식률은 2010년 23.4%를 거쳐 지난해 29.6%까지 증가했다. 아침을 굶으면 점심ㆍ저녁 식사를 많이 먹거나 야식을 먹게 돼 비만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앙일보

20~30대는 40대 이상보다 폭음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반적인 건강 행태도 젊은층이 더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 행태 불량은 40대 이상보다 20~30대에 두드러진다.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39세가 46.7%로 40세 이상(35%)보다 훨씬 높았다. 월간 폭음률(최근 1년간 월 1회 이상 술자리에서 남성 7잔, 여성 5잔 이상 음주한 비율)도 19~39세 남성이 58.2%로 40세 이상 남성(48.8%)보다 심각했다. 아침 식사 결식률은 각각 47.2%와 18.8%로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러한 성인 건강 문제가 커진다면 향후 10~20년 뒤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강재헌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몸을 잘 안 움직이게 되면서 만성질환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만성질환은 비만에서 오고, 비만은 생활습관 악화 때문에 생긴다"면서 "이미 건강 문제로 들어가는 재원 부담이 조 단위에서 수십조 단위로 늘어난 상태다. 더 늦기 전에 범부처 차원에서 국민 보건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복부 비만에 걸린 모습. 건강 관리를 개인에게 맡기지 말고 정부와 기업 등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 관리를 개인의 몫으로만 넘기지 말고 직장·사회에서 더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대부분의 직장인은 과로와 회식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운동도 제대로 못 한다. 기업도 직원들에게 건강검진뿐 아니라 건강 식단 정보 등 적극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진 복지부 건강정책과장은 "1차 의료기관 중심의 만성질환 예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가 차원의 비만 관리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