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기업은행, 中企 부동산 투자·M&A 자문 신사업 '먹구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동산에 中企 자금 투자 우려로 장기화 조짐

비이자수익 확보 목적 강조…등록은 미지수

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기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상 부동산 투자와 인수·합병(M&A) 자문업 추진이 금융당국의 심사 지연으로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의 중기 특화 부동산 투자자문업이 자칫 중소기업들의 부동산 투자를 부채질할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현재 부동산 투자 및 M&A 자문사업 진출을 위해 금융당국과 논의 중이다. 기업은행은 일반 시중은행이나 부동산투자자문사보다 낮은 수수료율을 앞세웠다. 기업은행은 최근 대출이 아닌 경영 측면의 도움을 받기 위해 은행을 찾는 중소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신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실제 진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기업은행이 신사업은 논의 자체가 지연되는 분위기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투자 및 M&A 자문사업 등록이 소강상태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동산 투자자문 사업은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이 모두 진출한 사업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해 부동산 투자자문업을 승인 받은 뒤 부동산투자자문센터를 통해 영역을 넓혔다. 이달 13일에는 일본 부동산 시장으로 확대한다.

M&A 자문업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신한은행만 전담 부서를 운영 중이다. 신한은행의 M&A 자문 담당 부서는 M&A에 관심이 있는 중소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지난해까지 3년간 44건의 중소기업 M&A 거래를 성사시켰고 현재도 꾸준히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를 본 기업은행은 장점인 중소기업과의 릴레이션십을 바탕으로 관련 사업을 특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대기업보다 경영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안정적인 자산을 확보하거나 IR, M&A 분야에서 역량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기업은행은 이런 상황에서 도움을 주고 수수료를 받아 비이자 수익을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 등록을 받는 금융당국 입장은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부동산 투자 자문을 한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부담스러워서다. 연구 시설이나 공장 부지 확보를 돕겠다고는 하지만, 악용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본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관련 사업 인가를 신청한 것은 맞다"며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jd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