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김기문 후보
정·재계 폭넓은 네트워크 활용
실천가능 대안 제시해 정부 설득
최저임금 주기확대 등 속도조절
지역·업종별 차등제도 도입하고
중기 전문銀·표준원가센터 설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가 가장 잘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이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정책 변화를 주도하는 것입니다. 노동 분야에서도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 정부와 국회, 노동계를 설득하겠습니다.”
제26대 중소기업중앙회장 선거에 출마한 김기문(64·사진) 후보(제이에스티나 회장·진해마천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는 11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중소기업계를 둘러싼 어려운 경영 환경을 개선하겠다며 다부진 각오를 밝혔다.
김 후보는 지난 2007년부터 2015년까지 8년간 23·24대 중기중앙회장을 지내고 이번에 다시 중앙회장에 도전장을 내면서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정관계와 재계를 아우르는 폭넓은 네트워크와 강력한 업무 추진력이 다른 후보와 차별화된 강점으로 꼽힌다. 사업에 있어서는 제이에스티나의 전신인 로만손을 창업해 자수성가한 뒤 개성공단 진출의 선두에서 길을 닦으면서 대중적으로 유명해졌다. 제이에스티나는 현재 시계·주얼리 부문 국내 1위 기업의 입지를 다졌다.
중소기업계에선 ‘중앙회장을 두 번이나 하고서 왜 다시 뛰어드느냐’는 질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질문에 대해 김 후보는 “중기중앙회가 안고 있는 시대적 사명 때문”이라고 말한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소기업인들에게 기댈 곳이 돼 주고, 당당하게 할 말을 하는 것이 중앙회가 맡은 시대적 사명”이라는 김 후보는 “지난 4년간 중소기업중앙회가 그런 역할을 제대로 못 한다는 평가가 많은 만큼 저 스스로 무거운 마음으로 이번 선거에 도전장을 낸 것”이라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김 후보는 “지금까지 30여년간 사업을 했지만, 현장에서 느끼기에 지금이 가장 어렵고 혼란스럽다”며 “중소기업이 힘든 이유는 해당 기업이 잘못했거나 아니면 주변 환경이 나빠서인데 지금은 환경 문제가 더욱 크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특히 현 정부의 노동 정책이 ‘과속하고 있다’는 게 김 후보의 판단이다. 중소기업계 가장 큰 이슈인 최저임금 인상 문제와 관련, 그는 “중장기적으로는 시간 당 1만원으로 가야 하는 게 맞지만 (임금을 지급할 기업이 감당할 수 있도록) 속도 조절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후보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속에서 최고경영자가 직원들을 포기하지 않으려고 무리하면 해당 기업의 존립마저 흔들릴 수 있다”며 “물가상승률 수준의 인상이든, 전년도 인상분을 감안한 동결이든 현장의 목소리부터 듣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2년새 30%나 오른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충격을 감안해 최저임금 주기 확대 등 구체적인 보안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김 후보의 생각이다. 그는 “최저임금 논의 주기를 현재의 1년에서 3년으로 늘리고 지역·업종별 차등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면서 “중소기업중앙회장이 되면 이 문제부터 해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휴수당의 경우 주당 15시간이 아닌 40시간 근무 시에만 발생하도록 하고, 탄력근무제 단위 기간 역시 1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중소기업계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정책도 제안할 방침이다. 그 첫 번째가 중소기업 전문은행이다. 그는 “중기 전문은행을 설립해 중기가 담보대출을 벗어나 기술력과 잠재력으로 평가받아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정상적인 금융 관행을 정착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납품 단가 문제에서는 “표준원가센터를 만들어 정부 조달이나 대기업 납품에서 중기가 최저가 입찰을 벗어나 제값을 받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역설했다.
중소기업중앙회라는 경제단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직원들이 중소기업 지원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조직을 개편하겠다”며 “정책 연구기능을 확충하고 중앙회 회원사인 중소기업 협동조합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