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미국 전 원자력위원장 “이젠 원전 금지돼야 한다고 생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그레고리 잭코 전 미국 NRC 위원장

언론에 기고문 보내 “원전 금지해야”

미국 원전 조사해보니 결함 나왔지만

핵산업계 로비로 유야무야됐다 주장

“원전 그만둬야…지구에 투표할 때”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발전은 그 자체로 핵무기로 가는 실존적 위협이며 통제가 안될 경우 사람을 죽이고 토지를 파괴한다. 이제 남은 선택지는 지구를 구하는 것과 핵산업계를 구하는 것 뿐이다. 나는 지구에 한 표를 던지겠다.”

미국 원자력시설 안전을 책임졌던 그레고리 잭코 전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위원장이 “원전은 금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지난 17일 <워싱턴포스트>에 원자력발전이 인류 안전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며 원전을 금지해야 하는 이유 등을 기고했다. 미국 NRC는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같이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감독·규제하는 기관이다. 잭코 위원장은 2005~2009년 NRC에서 근무한 뒤 같은 해 위원장에 올라 2012년까지 위원장을 지냈다.

잭코 위원장은 “핵 정책을 4년 동안 연구하며 산업이 정치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목격했다”며 “원자력 규제 위원회에서 일하면서 원자력이 거대한 과학적 업적인 동시에 강력한 비즈니스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했다. 그는 “원자입자를 연구한 물리학자로서 과학과 기술 혁신을 동경해 왔지만 2005년이 되자 시각이 바뀌기 시작했다”고 했다.

그는 특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NRC 위원장을 지내며 핵산업계의 광범위한 로비를 목격했다고 했다. 잭코 위원장은 “(후쿠시마 사고 발생 뒤에도) 업계는 NRC가 모든 것이 괜찮고 바꿀 필요가 없다고 말하기를 원했다”며 “자연재해 발생시 미국 원전들도 비슷한 사고가 생길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지만 산업계는 더 강력하게 로비했고 보고서 내용에 반발했다”고 했다. 잭코 위원장은 결국 몇 가지 안전조치를 한 뒤 4개 신규 원자로 면허가 승인됐다며, 그 가운데 2개는 건설사 파산으로 문을 닫았고 나머지 2개는 건설비용이 2배 가까이 오르며 공사일정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잭코 위원장은 원자력을 지어야 화력발전소의 탄소배출량이 줄어든다는 일각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일본은 후쿠시마 사고를 겪은 뒤 50개 원자로 중 40여개를 멈췄지만 오히려 탄소배출량이 사고 이전 수준 이하로 떨어졌다”며 “에너지효율과 태양광 발전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