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하방', '부진', '위기'. 방금 보신 것처럼 우리 경제 상황을 놓고 여러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건이 좋지 못하다는데는 큰 이견이 없어 보이지만 과연 이것이 어느 정도냐, 해법이 무엇이냐를 놓고는 엇갈린 입장을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송지혜 기자가 나와있습니다. 조금만 더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오늘(10일) 마침 국책연구원 KDI가 경기 동향을 분석한 자료를 냈습니다. 현재 상황을 KDI는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KDI는 '우리 경기가 부진하다'고 진단을 했습니다.
무엇보다 '수출이 줄면서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이렇게 평가한 것인데요.
수출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6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앵커]
결국 수출이 관건이라는 얘기인데, 하반기에는 좀 나아질 것이다 이것이 정부의 기대이기는 하죠?
[기자]
네 정부는 수출과 투자가 1분기보다는 2분기, 또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나아질 것으로 봤습니다.
이른바 '상저하고'를 기대한 것이죠.
그런데 수출을 보면 4월보다 지난달에 감소폭이 오히려 커졌습니다.
미·중 갈등에 앞으로도 낙관은 어렵습니다.
그럼 남는 것은 소비죠.
그런데 이 역시 증가세가 줄면서 힘이 좀 달리는 모습입니다.
[앵커]
청와대가 언급한 '하방', 그러니까 아래로 향한다 이런 뜻이 될 것 같은데 KDI는 '부진' 이렇게 표현을 했습니다. 야당에서는 '위기'라고 얘기를 하고 있고요. 사실 이 표현 하나하나가 사실은 미묘하게 다른 점들이 좀 있어서 이것을 어떻게 봐야 하느냐, 이것이 사실 중요한 문제 아니겠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청와대가 쓴 '하방 위험'이라는 표현은 사실 경제부처나 한국은행에서 곧잘 쓰는 용어입니다.
말 그대로 경기가 내려갈 위험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처음 나온 것은 아니고요.
앞서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나 또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침체'보다는 좀 약하고 가치판단도 덜 들어간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는 심리"라는 말이 있죠.
경제에 책임이 있는 정부나 한국은행이 굳이 '침체', '부진'이라는 말을 써서 심리를 위축시킬 필요는 없으니 그런 말은 잘 안 쓰는 것입니다.
반면에 연구기관인 KDI는 '부진'이라는 좀 더 직접적인 표현을 썼습니다.
단순한 위험 정도가 아니라 말 그대로 현재 진행형이라는 얘기죠.
야권에서는 한 발 더 나아가서 '경제위기'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요.
이것은 차원이 다른 얘기입니다.
경기가 침체 수준을 넘어서 정상적인 순환 주기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의미인데요.
금융위기 또 외환위기가 대표적입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그런 뜻보다는 경기침체를 강조하는 의미로 쓰는 경우가 더 많아 보입니다.
[앵커]
어떤 용어를 쓰느냐에 따라서 사실은 처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그래서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는 것인데, 정부와 여당은 그 대책으로 추경안을 빨리 통과시켜달라 이렇게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지금 국회가 안 열리고 있는 상황이니까 그렇게 쉽게 될 것 같지는 않고 또 추경이 된다고 해도 수출이나 이런 문제까지 다 한꺼번에 해결되는 것도 아니잖아요. 그렇죠?
[기자]
맞습니다. 추경이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추경 자체가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효과는 정부 추산으로도 0.1%포인트에 그칩니다.
다만 충격을 줄이는 일종의 버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인데요.
불안한 심리를 좀 안정시키는 효과도 있죠.
한편에서는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기 시작했는데 이 역시 추경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듣죠.
◆ 관련 리포트
청와대 경제수석 '경기 하방' 말 떼자…야, '경제위기' 공세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301/NB11831301.html
송지혜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