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1 (월)

[G2 무역 냉전시대]“美·中 무역의존도 낮추자”…아세안·印·러 투자 잰걸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며 국내 기업들이 미ㆍ중 무역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제3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성장 잠재력이 큰 아세안 및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러시아, 중앙아시아 진출도 활발하다.

이른바 ‘신남방’으로 불리는 아세안(ASEANㆍ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지난 2017년 중국 사드(THADD)보복 사태로 된서리를 맞았던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 대표적인 ‘포스트 차이나’로 꼽히는 지역이다. 2016년 기준 6억39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6위의 경제 규모를 갖추고 있다. 중국과 비교해 인건비가 저렴한 점, 최근 한류열풍이 뜨겁게 부는 점 등도 우리 기업이 아세안 시장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이유다.

이미 중국과의 무역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일본과 대만 정부는 일찌감치 대(對) 중국 수출 비중을 낮추고 아세안 국가와의 경제 교류를 활성화해오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아세안 진출에 적극적이다. 중국 의존도가 70%를 웃돌았던 아모레퍼시픽은 2020년까지 말레이시아에 1100억원을 투자해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지난 1월에는 필리핀 수도에 라네즈 매장 1호점을 열었다. SK그룹도 지난달 베트남 1위 민영기업인 빈그룹의 지주회사 지분 약 6.1%를 10억달러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현대자동차도 중국 시장 리스크를 아세안과 함께 신남방으로 거론되는 인도 시장에서 만회한다는 전략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올해 초 수출 중소기업 525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중소기업 수출전망 및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약 4곳인 39.9%가 동남아를 선호하는 신흥시장 1순위로 꼽았다.

이를 방증하듯 실제 지난해 한국의 대 아세안 수출도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수입도 10.8% 늘어 406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불과 2000년만 하더라도 10위권 밖이던 베트남으로의 수출 역시 2015년 4위, 2017년 3위 수준으로 껑충 뛰었다. 수출 비중도 8.3%에 달해 미국(12%)과의 차이가 4%포인트에 불과하다.

정부의 신북방정책으로 러시아, 중앙아시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동남아, 인도, 중동 등으로 공유경제 사업 영역을 확대해온 현대차가 최근에는 러시아 차량 공유 시장에 진출했다. SK건설도 지난해 카자흐스탄에서 1억8000만 달러 규모의 알마티 순환도로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올해 4월에는 우즈베키스탄 국영석유가스공사인 UNG와 6억달러 규모의 부하라 정유공장 현대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신북방지역에 진출한 기업 100곳 중 74.2%가 코트라의 신북방지역 협력에 관한 인식 조사에서 “신북방지역에 사업 확대를 하겠다”고 답했다. 박혜림 기자/ri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