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신세계百 분더샵 컬렉션, K패션 최초 영국 왕실백화점 입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세계百 분더샵 컬렉션, K패션 최초 영국 왕실백화점 입점

글로벌 진출 3년만에 74% 신장…해외 패션사업 순항

신세계백화점의 프리미엄 브랜드 '분더샵 컬렉션(BOONTHESHOP Collection)'이 글로벌 진출 3년만에 74% 신장하며 해외 사업이 순항중이다.

메트로신문사

분더샵 헤롯 매장 /신세계백화점


◆연간 1500만명 방문하는 영국 왕실백화점 입점

신세계백화점은 분더샵이 K패션 브랜드 최초로 영국 왕실 전용 백화점 헤롯(Harrods)에 정식 입점한다고 17일 밝혔다. 1849년 설립돼 런던에서 가장 오래된 백화점인 헤롯은 세계 5대 럭셔리 백화점 안에 손꼽히며 하루 평균 10만명, 연간 1500만명의 전 세계 고객들이 찾는 최고급 백화점이다.

신세계백화점의 분더샵은 단기 팝업 스토어가 아닌 총 300여개의 정식 입점 브랜드 중 하나로 헤롯에 입점, 유럽 내 상류층 고객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특히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로만 구성된 2층에서 보테가 베네타, 로에베, 가브리엘라 허스트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분더샵은 양면 착용이 가능한 양털·울 코트 외에 종이와 같이 얇게 가공한 가죽 스커트, 파리에서 '품질이 에르메스 급'이라는 호평을 받은 '봉제선 없는' 최고급 캐시미어 니트 등 100여종의 독창적인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전체 방문객의 30% 이상이 이용하는 주 출입구 쪽 화면에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2주간 분더샵 컬렉션 소개도 진행한다.

상품의 가격은 양털 코트 4400유로, 캐시미어 니트 1000유로, 가죽 치마 1500유로 등이다. 이는 현지 프리미엄 상품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편, 이번 분더샵 컬렉션 상품은 이달 말 분더샵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를 비롯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ㆍ대구점 단독매장 그리고 분더샵 매장 등을 통해 함께 판매된다.

메트로신문사

분더샵 컬렉션 19FW /신세계백화점


◆뉴욕·파리 등 세계적인 패션 도시 접수

국내 최초 편집숍이자 20여년간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선도해 온 분더샵은 2017년 9월 세계 최대 패션 시장인 뉴욕에 입성하며 글로벌 무대에 첫 선을 보였다.

지난해에는 세계 최초 백화점인 봉마르셰(파리)에 입점해 첫 해 만에 목표 매출액의 20%를 초과하는 실적을 달성하며 패션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 올해 3월, 뉴욕의 대표적인 럭셔리 백화점으로 꼽히는 버그도프 굿맨(뉴욕) 입점을 계기로 캐시미어와 모피 위주의 상품 구성에서 벗어나 사계절 토털 패션 브랜드로 거듭났다.

세계 최대 패션시장에서 첫 선을 보인 봄ㆍ여름 상품은 80%에 육박하는 판매율을 기록, 버그도프 굿맨 내 신진 브랜드 평균 판매율(60%)을 훨씬 웃도는 좋은 실적을 보이며 '패션 한류'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를 굳혔다.

뉴욕과 파리 등 세계적인 패션 도시에서 성과를 내며 분더샵 컬렉션의 위상도 달라지고 있다. 해외 사업 초창기 뉴욕과 파리 현지 쇼룸으로 바이어를 초청해 입점을 제안했던 분더샵이 해외 유명 백화점에서 먼저 찾는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 발돋움 한 것.

분더샵 컬렉션은 10월 노드스트롬이 뉴욕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여성패션 전문관 'Nordstrom NYC Flagship'에 입점 제의를 받았다. 노드스트롬 118년 역사상 가장 큰 프로젝트이자 미 동부지역의 첫 매장에 구찌, 발렌시아가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와 함께 하자는 제의를 받으며 최근 '뉴욕에서 가장 핫 한 브랜드'임을 입증한 것.

신세계백화점 분더샵 담당 김덕주 상무는 "3년 전 처음으로 세계 무대에 도전했던 분더샵 컬렉션이 K패션 브랜드 최초로 헤롯 백화점에 정식 입점하는 등 세계 시장 속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며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고객을 사로잡으며 세계적인 럭셔리 브랜드로 발돋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원선 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