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ESS 화재 원인 따진다…LG화학·삼성SDI CEO 국감 증인 요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 증인 신청

“제품결함·책임소지 따지기 위해 요청”


한겨레

잇달아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배터리를 제조한 엘지(LG)화학과 삼성에스디아이(SDI) 최고경영자들이 올해 정기국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요청됐다. 앞서 정부가 꾸렸던 민-관 합동조사위는 5개월간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도 ‘다양한 이유로 화재가 발생했다’고 결론 내린 바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배터리 제조사들에 면죄부를 준 것 아니냐는 시장의 의구심이 해소될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은 국감 증인신청 마지막 날인 지난 16일 엘지화학과 삼성에스디아이 대표이사를 국감 증인으로 신청했다고 17일 밝혔다. 이훈 의원실 관계자는 “화재 사고에 대한 제품 결합과 기업의 책임 소지를 따지기 위해 증인으로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에너지저장장치란 배터리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전력관리시스템(PMS) 등을 컨테이너 안에 구성한 설비다.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뒀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게 해준다. 날씨 등에 따라 생산량이 들쑥날쑥할 수밖에 없는 재생에너지 특유의 간헐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 함께 빠른 속도로 보급됐다.

그러나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24건에 이르는 화재가 발생해 책임 공방이 일어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27일 전기·배터리·화재 분야 전문가 19명으로 민관 합동 조사위원회를 꾸려 5개월 가까이 조사를 벌였고, 지난 6월 ‘과전류·과전압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결로·먼지 등을 막지 못한 시공·운영상의 문제, 서로 다른 업체가 제작한 다양한 구성품에 대한 통합 관리체계 미흡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조사위는 특정 시기에 엘지화학 중국 공장 동일 공정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에서 극판 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했지만, 이를 ‘직접적인 화재 원인’으로 지목하지는 않았다. 해당 결함을 모사한 셀을 제작해 충·방전 반복 시험을 180번 이상 수행했지만 불이 붙지 않았다는 것이 이유였다. 당시 조사위는 “결함이 있는 상태에서 충·방전 범위가 넓고 만충 상태가 지속 유지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성 말만 남겼다.

발표 뒤 에너지저장장치 업계에서는 핵심 구성품인 배터리 제조사들을 ‘봐주기’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커져 왔다. 특히 화재원인 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정부가 안전·설치 기준을 높이는 등 추가 화재를 막기 위한 조처를 시행해 왔는데도, 지난 2일 충남 예산에서 또다시 에너지저장장치에서 불길이 솟아 정부 조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졌다. 가장 최근 화재로 전소된 충남 예산의 에너지저장장치 역시 엘지화학이 만든 배터리가 쓰였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 [▶[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