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 공개
수돗물 사고예방ㆍ대응체계 구축, 관망관리 강화
4대강 유역별로 유역상수도지원센터가 설치되고 수돗물사고 발생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현장수습조정관제도가 도입되는 등 사고대응능력이 강화된다. 1단계 관로 정비사업은 4년 앞당겨 2024년 조기 완료하기로 했다.
[헤럴드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환경부는 28일 열린 국정현안조정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공개했다. 대책에 따르면 국민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먹을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혁신한 스마트상스도 관리체계가 2022년까지 3년내에 전국에 구축된다. ICT를 활용해 수질・수량 모니터링, 자동배수는 물론, 정밀여과장치 등을 관망에 설치해 취수원부터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이상 유무를 실시간 확인하고 자동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경기도 파주시는 이 사업을 시범운영해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2022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세종과 부산에 조성될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는 이보다 더 뛰어난 상수도관리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스마트상수도관리체계를 잘 발전시키면 우리의 매력 있는 수출상품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여러 개도국의 신도시 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거기에 첨단의 상수도관리체계를 곁들인다면 더 좋은 반응을 이끌어낼 것이 확실시된다는 것이다.
수돗물 사고 유형과 수습 단계별로 관리 매뉴얼을 구체화하는 등 위기관리 매뉴얼도 개선한다.
또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유역·지방환경청장이 사고수습을 총괄하는 ‘현장수습조정관’ 제도를 도입해 사태를 조기에 수습할 계획이다. 그간 수돗물 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다는 지적을 수용한 것이다. 현장수습조정관제도 도입을 위한 수도법 개정안은 지난 7월 국회 환노위를 통과한 상태다.
노후 관망관리도 강화된다. 오는 2022년까지 전국 노후관밀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오해 올해 추경 10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조사를 통해 개량 교체 등이 필요한 관로를 구분해 2022년부터 2차 관로정비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2017년부처 추진중인 기존 1단계 노후관로정비사업은 4년 앞당겨 2024년 조기완료하기로 했다. 노후관 정기 세척 등 의무화, 수도시설 유지·보수시기 등 예측·관리를 위한 이력관리체계도 구축된다. 수돗물 실태조사 결과, 수돗물을 마시지 않은 사람의 41.7%가 ‘물탱크나 낡은 수도관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를 이유로 제시한 만큼 관망관리는 중요하다.
아울러 수도시설 운영자 교육훈련과정을 매뉴얼 숙지 등으로 개선하고 관망시설운영관리사 제도 신설 등을 통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수도시설 운영 ‘부분위탁’의 근거를 마련, 관망유지·관리업(가칭) 신설을 통한 민간 전문업계의 참여도 확대할 계획이다.
dewki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