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중기중앙회-한국노총, ‘대기업 갑질 감시협의체’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기업 갑질 현황 조사하고 개선안 마련

중소기업 성장으로 근로자 복지 향상에 공감대

헤럴드경제

(왼쪽부터)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16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만나 대기업 불공정거래 근절을 위한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도현정 기자]중소기업계와 노동계가 ‘대기업 갑질’ 감시와 개선을 목표로 손을 맞잡았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16일 오전 여의도 중기중앙회 회의실에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주영)과 만나 대·중소기업간 불공정거래 개선 및 상생협력을 위한 협업을 추진키로 했다.

공동 사업 내용은 ▷대기업 협력 중소기업에 대한 불공정거래 실태 조사 ▷불공정거래 근절 방안 공동 연구 ▷양 기관에 불공정거래 신고센터 설치 ▷공동 협의체 설치 ▷현황 분석 통한 제도 개선방안 마련 등이다. 감시를 통해 발견된 대기업의 불공정 사례는 양 측이 정책건의 등을 통해 시정에 나설 예정이다. 양 측은 대·중소기업간 성과공유를 통한 임금·복지격차 완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일터 혁신 등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양 측은 공동 사업 배경에 대해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대기업의 불공정거래로 인해 중기 성장이 정체되면서 노동자에 대한 임금 지급여력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노총은 지난해 기준 총 조합원 3571개 사업장 중 300인 미만인 중소기업 사업장이 3104개로, 87%에 달한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이날 “최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0.3%의 대기업이 전체 기업 영업이익의 64%를 차지하고, 99%인 중소기업이 22%밖에 안된다. 대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공한 가운데 중소기업도 따라 성공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게 안타깝다”며 “한노총 대다수 회원사가 중소기업인 것을 감안하면 한노총과 중기중앙회가 이 문제를 논의하는건 의미있고 중요하지 않나 싶다”고 전했다.

김주영 한노총 위원장은 “중소기업 노동자들이 기술혁신 통해 원가절감을 하면 연말에 (원청기업에서) 단가를 깎아 겨우 먹고 살 정도만 된다는 안타까운 얘기들을 많이 들었다”며 “다음 세대들도 대부분 노동조합 할 수밖에 없을텐데 꼭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te01@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