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외신 "논란 된 해리스 콧수염…일제 총독 연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신이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의 콧수염을 조명하는 기사를 잇따라 내보냈습니다.

해리스 대사는 자신이 일본계라 비판의 대상이 됐다고 항변하지만 외신은 미국의 방위비 대폭 증액 요구 등과 맞물려 해리스 대사가 콧수염을 길렀던 일제강점기의 총독에 포개질 정도로 고압적 느낌을 주고 있다는 데 주목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 등의 보도에 따르면 해리스 대사는 한국시간으로 지난 16일 외신 기자들과 만나 "내 수염이 어떤 이유에선지 여기서 일종의 매혹 요소가 된 것 같다"며 '콧수염 논란'에 대해 직접 운을 뗐습니다.

그는 "내 인종적 배경, 특히 내가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점에서 언론,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비판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해리스 대사는 일본계 어머니와 주일 미군이던 아버지 사이에서 일본에서 태어났으며 미 해군 태평양사령관으로 재직하다가 2018년 7월 주미대사로 부임했습니다. 외교관의 길로 접어들면서 새로운 삶을 기념하는 차원에서 콧수염을 기른 것일 뿐이라는 게 해리스 대사의 설명입니다.

BBC방송은 현지시간으로 어제(17일) "일부 한국인에게 (해리스 대사의 콧수염은) 일제 강점기의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마음이 상한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총독의 콧수염이 연상된다고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해리스 대사는 이전에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분담금을 더 내라고 요구하면서 긴장을 조성했었다"며 "그러나 그는 그의 혈통에서 비판이 비롯됐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콧수염 논란'의 이면에 미국의 무리한 방위비 대폭 증액 요구 등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감이 깔려 있으나 해리스 대사는 자신이 일본계라 비난을 받고 있다는 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설명인 셈입니다.

CNN방송도 이날 "해리스 대사의 콧수염은 대사 자신을 넘어서는 더 큰 문제의 논의를 촉발했다"면서 "일제강점기의 유산에 대한 많은 한국인의 여전히 쓰라린 감정, 방위비 협상 와중에 한미 간 수십년 지속된 동맹의 미래에 나타나는 균열 같은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CNN방송은 한국에 해리스 대사가 일본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점을 문제 삼는 여론도 있다면서 "해리스 대사는 일본인이 아니고 미국 시민이며 그를 일본 혈통으로 부르는 것은 미국에서는 거의 인종차별로 간주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해리스 대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신년 회견에서 대북 개별관광 등 남북협력 추진 구상을 직접 언급한 이후 외신 간담회에서 남북협력 사업을 추진할 때 미국과 먼저 협의하라는 식의 발언을 했습니다.

대사가 주재국 정상의 발언에 대해 공개 언급하는 건 드문 일이라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해리스 대사는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나 지소미아와 관련해서도 미국의 입장을 강하게 대변했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