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 2.0% 성장하는 데 그쳤다. 정부가 제시한 성장률 목표치를 달성했지만 10년 만에 최저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잠재성장률(한은 추산 2.5∼2.6%)에도 크게 미달했다. 미·중 무역분쟁 등 글로벌 무역환경이 악화된 데다가 반도체 경기가 부진하면서 수출이 뒷걸음질 쳤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조정을 겪으면서 민간부문 둔화를 더 키웠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정부의 지난해 연간 경제성장률 목표이자 한국은행이 제시한 전망치인 2.0%에 부합한 수준이다.
다만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내 경제성장률은 작년 1분기 –0.4%로 역성장한 뒤 2분기 기저효과로 1.0% 반등했지만 3분기 다시 0.4%로 둔화했다. 그러나 4분기 성장률이 건설투자 증가와 정부 재정집행 효과에 힘입어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내면서 연간 2.0% 성장에 턱걸이했다.
지난해 경제 부진은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등 민간 경제가 침체에 빠진 탓이다. 연간 성장률을 지출 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1.9% 성장해 2013년(1.7%)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설비투자는 8.1% 감소해 2009년(8.1%) 이후 최저였다. 건설투자도 3.3% 감소했다.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업황 둔화 등이 겹치면서 수출도 1.5% 성장에 그쳤다. 2015년(0.2%) 이후 가장 저조한 성적이다. 반면 정부소비는 6.5% 증가해 2009년(6.7%)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연간 경제성장률이 2%로 낮아진 데에는 미·중 무역분쟁 등 글로벌 무역환경이 좋지 않았고 반도체 경기 회복이 지연된 영향이 있었다”며 “건설과 설비투자는 그동안 호황과정에서 나타난 조정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이 겹쳐서 민간부문 활력이 약화됐다”고 설명했다.
연간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반도체 가격 하락 등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4분기 GDP는 전분기보다 1.2% 증가했다. 2017년 3분기(1.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세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 늘었다. 민간소비(전기 대비 0.7% 성장), 건설투자(6.3%), 설비투자(1.5%)가 개선되면서 수출(-0.1%) 둔화를 만회한 영향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집행률을 높인 점도 4분기 성장을 견인했다. 4분기 정부소비는 2.6% 늘었다. 부문별 성장기여도는 정부가 1.0%포인트인 반면 민간은 0.2%포인트에 그쳤다.
박 국장은 “정부부문의 성장기여도가 높아진 데는 소비와 투자에 있어 정부지출이 늘어났고 민간부문 기여도가 기저효과로 낮아진 영향”이라며 “정부부문 기여도가 높아지면서 4분기 성장률이 1.2%라는 수치가 나타났지만 민간부문에서의 성장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