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미술의 세계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현대미술 및 건축 자료 기증 받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윤지 기자]
문화뉴스

출처: 국립현대미술관, 도쿄화랑 '한국·현대미술의 단면' 전시 현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뉴스 MHN 오윤지 기자]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연구센터가 일본 도쿄화랑(東京画廊), 건축가 윤승중 아카이브(기증자 윤승중), 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약칭 건미준, 기증자 김영섭) 자료를 기증받았다.


도쿄화랑은 야먀모토 다카시(山本孝, 1920~1988)가 1950년 도쿄 긴자에 설립한 화랑으로 1970년대부터 전시 '한국 5인의 작가 다섯 가지의 흰색(韓国五人の作家 五つのヒンセク<白>)', '한국·현대미술의 단면(韓國·現代美術の斷面)', 한국·현대작가 12인(韓國·現代美術の12人)' 등을 기획하여 김환기, 이우환, 박서보 등 한국 작가를 일본에 소개하고 한국 현대미술을 일본에 널리 알렸다. 기증 자료는 도쿄화랑 창립 시기부터 1970~9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 전시 관련 이미지 4000여 점, 브로슈어, 초청장 등 전시 관련 자료 100여 점이다.


문화뉴스

출처: 국립현대미술관, 윤승중 '천년의 문' 계획안 스케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축가 윤승중(1937~)은 국내 대표적인 대형설계사무소 원도시건축을 설립하여 약 50년 동안 건축에 매진했다. 기증 자료는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작업한 18개 프로젝트 관련 스케치 174점이다. 을지로2가도심개발계획안, 서울시청계획안 등 국가 주도의 건축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문화뉴스

출처: 국립현대미술관, '1993 건축가 선언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은 김영섭, 김인철, 조성룡 등 건축가 460여 명이 1993년 '설계·감리 분리를 위한 건축사법 개정안'에 반대 서명 운동을 벌인 것을 계기로 결성된 단체다. 기증 자료는 선언문, 공문서, 자료집, 보고서, 회보 등 350여 점으로 향후 주제별 건축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은 2011년부터 건축 자료 수집·연구를 시작하여 2013년 미술연구센터 개소 이래 이타미준, 김종성, 김태수 등 원로건축가 및 건축사학자 박길룡 등의 자료를 갖추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도쿄화랑 수증 자료는 1970~90년대 한국 현대미술 연구에 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현대미술 및 건축 자료 기증 받아


도쿄화랑, 윤승중, 건미준 자료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연구센터에 소장


<저작권자 Copyright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