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트럼프 "Fed 금리 높다"…기준금리 인하 압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언급하며 연방준비제도(Fed)에 기준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Fed는 리더가 되는 것을 시작해야한다"며 "우리는 가장 낮은 기준금리를 채택해야한다. Fed의 금리는 높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독일, 일본을 봐라. 다른 나라들을 봐라"며 "그들의 다수는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는 Fed 때문에 그런 위치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리고 지금 우리는 이 문제(코로나19)가 있다"면서 "여러분은 독일이 (금리를) 내리고 또 많은 돈을 쏟아붓고 있는 것을 봤다. 우리는 Fed가 '이런 것을 해야만 한다'는 얘기를 듣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더 낮은 금리로 부채를 리파이낸싱 할 수 있다"면서 "Fed가 우리가 지불해야 하는 것보다 더 많이 지불하도록 만들고 있다. 그것은 터무니없다"고 비판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전날 긴급성명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적절하게 행동하고 우리의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하다"며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가 경제활동의 리스크를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Fed는 상황 진전, 경제 전망에 미치는 함의 등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이 상황이 더 악화하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파월 의장의 긴급성명 발표 직후에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Fed의 대응책이 필요한지를 묻는 말에 "Fed가 빨리 개입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Fed는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지난해 7월 말 10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내렸다. 이어 같은 해 9월과 10월에도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했다.


그러다 지난해 12월부터 기준금리를 동결해오고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50~1.75%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뉴욕증시 급락에 대해 "시장은 돌아올 것"이라면서 "시장은 매우 강하다"고 덧붙였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한주'를 기록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4일부터 5거래일간 총 3580포인트가량 급락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