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민간기술로 군용 정찰드론·웨어러블 로봇 등 제작 가속화…올해 1772억원 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대비 올해 예산 15% 증액

-19년 1540억→20년 1772억원

-민간 첨단기술, 국방분야에 적용

-99년부터 시작해 민군 상생 효과

헤럴드경제

민군기술협력 사례[사진=방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장기체공 정찰드론, 인체-기계 고속동기화 제어 기술 등 정부는 올해 민간 첨단기술을 국방 분야에 접목하는 사업에 1772억원을 투입한다.

방위사업청은 4일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4개 부처와 민군기술협의회를 열고 2020년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1540억원 수준이었던 이 사업 예산을 올해 1772억원으로 증액해 민간의 첨단 기술을 국방 분야에 접목시키는 사업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올해 1772억원을 로봇, 드론, 3D프린팅, AR(증강현실)·MR(혼합현실)·VR(가상현실)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그 성과를 국방 분야에 적용해 첨단 국방 구현 및 신산업 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1999년 시작된 대표적인 범정부 협력사업으로, 국방 분야 무기체계 성능 향상과 민간 분야 미래 성장동력 확보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민과 군의 공통 필요기술을 개발하고 민간기술은 국방 분야에, 국방 기술은 민간 분야에 활용하는 것이 골자다.

방사청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총 1조3441억원이 투입됐고, 최근 5년간 개발 기술 누적 실용화율은 69%에 달한다. 누적 실용화율은 사업 종료과제 중 사업화에 성공해 국가기술정보망(NTIS)에 등록된 과제 비율이다.

2018년 전력화 완료된 해군 유도탄고속함의 국산 중소형 워터젯추진시스템은 2001~2006년 39억5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돼 개발됐고, 누적 매출액 719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기존 수입품을 대체해 무기체계 국산화에 크게 기여한 대표적인 품목으로 꼽힌다.

또한 2007~2014년 200억원을 투입해 개발한 고기능·고성능 복합섬유 소재는 F-15K 전투기 브레이크 디스크 개발에 활용되는 등 누적 매출액 1211억원을 기록 중이다.

국방 분야의 비무기체계 사업 중에는 2018~2020년 각각 6억원과 4억원을 들여 개발한 기능성 동계 함상복과 함상화가 대표적이다. 난연성, 통풍성, 항균성 등 기능성이 개선된 소재로 만들어진 함상복은 올해 6만2000벌(62억원 규모)의 매출을 올렸다. 난연성, 방투습, 미끄럼 방지 등의 기능성을 갖춘 함상화는 올해 15만5000족(11억원 규모)이 납품됐다.

2015~2018년 45억원을 투입한 '고강도 탄소섬유로 만든 복합재 격자 구조체 제작기술'은 한국기계기술단체 총연합회가 선정한 2019년 10대 기계기술에 포함됐다.

예산 및 시행계획 확정에 따라 올해는 10개 부처가 총 195개 과제(신규과제 44개)를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추진되는 신규과제로는 장기체공 정찰드론(2020~2022, 10억원), 인체-기계 고속동기화 제어기술(2020~2024, 113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인체-기계 고속동기화 제어기술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로봇' 제작을 구체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육·해·공군 등이 사용하게 될 40㎏급 수송용 드론, 500g급 초소형 정찰드론 등도 첨단 민간기술을 접목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방 기술의 민간 활용 활성화를 위해 핵심 선도모델을 적극 발굴하기 위해 당해 연도에 착수 가능한 '패스트트랙' 제도를 신설하고, 민군기술개발 성과물의 활용 촉진을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상모 방위사업청 국방기술보호국장은 "민군기술협력사업은 국방력과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가지 목적 달성을 위해 부처가 협업해 발전적인 성과를 이뤄왔다"며 "앞으로도 민과 군이 상생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