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5대 금융지주, 증시·채권안정펀드에 2조씩 출자 '가닥'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주 펀드 규모·시행시기 발표 방침

뉴스1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지난 2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5대 금융지주과 조찬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은 위원장,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금융위원회 제공) 2020.3.2/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정부가 코로나19발 금융시장 대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추진 중인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와 채권안정펀드(채안펀드)에 5대 금융지주사가 2조원씩 출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신한·KB·하나·우리·NH 등 5대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증안펀드와 채안펀드 출자 협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5대 지주별로 2조원씩 출자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증안펀드는 금융사의 공동 출자를 통해 증시 안정에 기여하고자 조성하는 펀드다. 금융위기로 주식 시장이 패닉에 빠질 때마다 당국이 대표적으로 활용한 카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나온 증안펀드는 한국거래소 등 4개 유관기관이 총 5150억원 규모로 조성을 한 바 있다. 이번에 규모가 10조원 규모로 대폭 늘어난 것은 시장 규모가 그때보다 커진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상황이 역대급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채안펀드는 채권시장 경색으로 자금난을 일시적으로 겪는 기업들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국고채, 회사채의 과도한 스프레드 차이를 해소하는데 사용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10조원 규모로 책정됐고 은행권이 8조원 가량을 부담했다.

금융당국은 펀드 조성을 서두르겠다는 입장이다. 이번주 증안펀드와 채안펀드 규모와 시행시기 등을 발표할 방침인데 출자 규모와 향후 세부 설정계획 등에 대한 논의가 아직 남았다. 채안펀드는 10조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약정을 해놓은 상태이기에 논의가 늦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증안펀드는 논의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지난 20일 기자들과 만나 증안펀드에 대해 "금융사별로 협의를 하고, 내규를 만들고, 투자위원회 등도 만드는 등 시간이 필요한데 아무리 급해도 이런 것을 건너뛸 순 없다"고 했다.

은 위원장은 지난 20일 주요 은행장들과 만난데 이어 사흘만인 23일에도 이들과 재차 간담회를 갖는다. 23일 간담회에선 지난 20일 논의한 사안들을 명문화해서 협약식을 진행하는데 이에 앞서 증안펀드와 채안펀드의 규모 및 은행권 출자 문제 등 코로나19 대책 세부 내용을 놓고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금융위는 또 코로나19발 피해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속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금융사 건전정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goodda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