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홍남기, IMF에 "통화바스킷 확대하자"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세계를 덮치고 있는 코로나19발 금융불안 사태 진정을 위해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때 사용됐던 특별인출권(SDR) 확대를 요청했다. SDR은 IMF회원국들이 정해진 일정조건에 따라 IMF로부터 국제유동성을 인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28일 기획재정부는 홍 부총리가 지난 27일 한국시장 20시에 개최된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화상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IMFC는 IMF 총회(Board of Governors)에 IMF 정책방향, 전략 등을 제시하는 자문기구로서 24개 이사국 대표로 구성됐다. 이번 IMFC 회의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난 3월4일에 이어 긴급 소집된 두 번째 非정기회의다.

최근 각국의 코로나19사태에 대한 정책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에 대응해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중심역할을 맡고 있는 IMF의 역할 제고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IMFC는 1년에 2차례(4월 춘계회의, 10월 연차총회) 개최되고, IMF 24개 이사국의 재무장관 또는 중앙은행 총재만 참석한다. 그러나 이번 회의엔 최근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국제공조 필요성 등을 감안해 G20 국가 중 현재 이사국이 아닌 한국 등 4개국도 초청됐다.

회원국들은 회의에서 추가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며, IMF도 피해국가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약속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므누친 미국 재무장관, 이강 중국 인민은행총재,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에 이어 네 번째 선도발언을 통해 한국정부의 방역·경기대응 노력을 공유하고 피해국가 지원을 위한 IMF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했다.

홍부총리는 IMF 역할에 대해서는 코로나19로 인해 큰 피해를 겪고 있는 국가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하며 긴급한 지원요청을 한 국가들에게 신속한 금융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절차를 간소화해줄 것을 제안했다. 특히 홍부총리는 글로벌 금융시장안정을 위한 유동성 공급을 위해 글로벌 금융위기시 시행했던 특별인출권(SDR) 배분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DR은 국제통화기금에서 발급하는 유가증권으로 국제통화기금 회원국의 국제수지가 악화되었을 때, 담보없이 "필요한 만큼의 외화를 인출해 갈 수 있는 권리"를 화폐처럼 발행해 주는 것을 말한다. 현재는 달러화,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위안화까지 5대 통화 체제다. IMF 회원국이 국제수지 악화시 담보없이 필요한 만큼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통화인 만큼 달러에 준하는 기축통화인 만큼 최근 한국이 미국과 체결한 통화스와프와 유사한 효과를 갖고 있다.

홍 부총리의 요청은 이런 SDR화폐 범위를 한시적으로 확대해 금융시장의 달러화 급변동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하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IMF는 회의에 앞서 G20정상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회원국들에게 긴급 자금조달 능력을 현행 500억달러(61조4000억원)에서 1000억달러(122조8000억원)로 두 배 늘려줄 것을 요청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성명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의 심각성과 회복 속도는 전염병의 억제와 우리의 통화·재정 정책이 얼마나 강력하고, 협력됐는가에 달렸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와 갑작스러운 경제 중단, 자본 이탈, 원유 등 일부 상품 가격의 급락 등으로 타격을 받은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이 엄청난 위협에 맞서 함께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게오르기에바 총재도 홍부총리의 제안과 관련해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처럼 특별인출권(SDR)을 동원해 글로벌 유동성을 끌어올리고, 최빈곤 국가를 상대로 부채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끝으로 "우리는 세계은행(WB)를 비롯해 다른 국제 금융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약 1조달러(1228조원)의 재정 자원이 준비돼 있다"고 덧붙였다.

IMF는 현재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강력한 대책들을 준비중이며, 이에 대해 내달 16일 IMF 춘계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지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