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삶과 추억] 20세기 음악사 바꾼 거장, 교향곡 ‘한국’도 남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곡가 펜데레츠키

중앙일보

펜데레츠키


교향곡 ‘한국’을 작곡한 폴란드의 대표적 작곡가 크시스토프 펜데레츠키(사진)가 29일(현지시간)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별세했다. 87세.

고인은 1960년대 ‘음향 음악’을 선도하면서 20세기 음악사의 방향을 바꿨다. 기존의 선율·화성·리듬이라는 요소 대신 음향과 음색을 만들어내는 기법을 내세우며 20대 후반부터 전위적인 작곡가로 주목받았다. 특히 1960년 ‘히로시마를 위한 애가’에서 현악기 52대가 불규칙한 덩어리로 소리를 내도록 작곡해 음악의 전통 개념에 변화를 주고, 히로시마 원폭 피해자들의 고통을 형상화했다.

10대에 겪은 제2차 세계대전, 인간들의 비인간적 행동, 고국의 역사적 비극은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교향곡 3번, 성 누가 수난곡, 폴란드 레퀴엠 등이 대표작. 그래미상 5회, 에미상 2회, 작곡계 권위가 높은 그라베마이어상을 받았다.

현대성을 극대화한 펜데레츠키의 음악은 ‘엑소시스트’(1973), ‘샤이닝’(1980), ‘칠드런 오브 맨’(2006) 등 불안한 심리를 표현하는 영화에도 자주 쓰였다.

폴란드 남동부 데비카에서 태어나 바이올린으로 음악을 시작한 고인은 크라쿠프 음악 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했다. 전위성과 혁신성을 강조했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는 기존 화성을 사용했다. 동시대 작곡가들의 전위성이 청중을 멀어지게 했다는 판단에서다.

교향곡 제5번 ‘한국’은 1991년 이어령 당시 문화부 장관의 청으로 작곡했다. 이 전 장관은 “‘히로시마를 위한 애가’를 듣고 위촉했다. 이 세계적 작곡가가 일본을 위한 곡만 쓰고 한국을 위한 곡은 쓰지 않으면 안 된다고 봤다”고 했다. “일본 강점기 등 오랜 역사에서 이름 없이 죽어간 한국인의 진혼곡을 써달라”는 이 전 장관의 부탁에 펜데레츠키는 민요 ‘새야새야 파랑새야’ 모티브를 반복적으로 쓴 교향곡 ‘한국’을 완성해냈다.

지난해 10월 성 누가 수난곡의 한국 초연을 지휘하러 내한할 예정이었으나 건강이 나빠져 오지 못했다. 내한을 추진한 류재준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은 “한국과 폴란드의 비극을 같은 시선으로 봤던 분이다. 인류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면서 한국인들을 위로하고 싶어했다”고 기억했다. 이 전 장관 또한 지난 인터뷰에서 “세계적 작곡가이자, 따뜻한 시선을 가진 휴머니스트 예술가였다”고 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