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2월 경상수지 흑자 64.1억달러…코로나19에도 흑자폭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월 경상수지 흑자 폭이 작년 같은 달보다 확대됐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영향은 대중국 수출 등에 부분적으로만 반영됐습니다.

오늘(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2월 경상수지는 64억1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냈습니다.

흑자 폭은 작년 2월(38억5천만달러) 대비 25억6천만달러 늘었습니다.

설 연휴 이동에 따른 조업일수 증가와 반도체 경기 호전으로 상품수지 흑자 폭이 늘어난 데다 해외여행 감소로 서비스수지가 개선된 영향을 받았습니다. 배당수입 증가로 본원소득수지도 개선됐습니다.

상품수지 흑자는 65억8천만달러로 1년 전(54억2천만달러)보다 11억6천만달러 늘었습니다.

수출(418억2천만달러)이 4.0% 늘었고, 수입(352억4천만달러)이 1.3% 늘어 수출 증가 폭이 더 컸습니다.

전년과 달리 설 연휴가 없어 조업일수가 3.5일 늘었고, 반도체 수출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51.3% 늘어난 덕택이었습니다. 정보통신기기 수출물량도 27.9% 증가했습니다.

다만, 통관기준으로 본 대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해 코로나19 영향이 현실화했습니다.

중국은 1월 하순부터 후베이성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해 춘제 연휴 기간을 연장하면서 '셧다운'에 들어갔습니다.

문소상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중국 쪽으로는 수출이 많이 줄었으나 미국, 동남아 지역으로는 증가했다"며 "조업일수 증가도 상품수지 흑자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14억5천만달러 적자로, 적자 폭이 1년 전보다 9천만달러 줄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여행객이 줄면서 여행수지 적자가 5억7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적자 폭을 2억7천만달러나 줄였습니다.

출국자 수가 1년 전 262만명에서 지난 2월 105만명으로 60.0% 급감했는데, 한국으로 들어온 입국자 수는 120만명에서 69만명으로 43.0% 감소해 해외 여행객 감소세가 더 가팔랐습니다.

문 부장은 "서비스수지의 경우 출국자와 입국자가 모두 급감하는 등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았다"라며 "다만 출국자 수가 더 많이 줄어 여행수지 자체는 개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임금·배당·이자 등의 움직임인 본원소득수지는 12억5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해외로부터의 배당수입이 증가하면서 1년 전 4억5천만달러보다 흑자 폭이 7억9천만달러 확대했습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2월 중 55억달러 증가했습니다.

직접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0억7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8억3천만달러 늘었습니다.

증권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가 28억7천만달러 늘었지만 코로나19에 따른 신흥국 투자심리 위축에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3억7천만불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파생금융상품은 9억3천만달러 불어났습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1억달러 줄었습니다.

2월 기준으로는 경상흑자가 커졌지만 이번 달 국내 기업들이 외국인 배당금을 대거 지급할 경우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문 부장은 "4월에는 배당 지급이 많이 발생하나 현재 객관적인 수치가 없어 단정해 말하기는 이르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