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부산시 유관기관과 디지털 성범죄 공동 대응 나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부산시청



부산/아시아투데이 조영돌 기자 = 부산시는 최근 SNS(텔레그램 ‘n번방’ 등) 내 불법 촬영물 제작·유포 등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 및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과 공동 대응에 나선다.

10일 부산시에 따르면 교육청, 경찰청, 부산지방변호사회, 민간전문가들과 함께 디지털성범죄 대응 TF’를 구성하고, 오는 13일 부산시청에서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아동·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성범죄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기관별 디지털 성범죄 대응 추진계획 및 상호 협력방안 등 전담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를 통해 마련한 협력과제는 적극 추진해 차후 TF 회의에서 추진실적을 보고하는 등 피해자 지원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특히, 아동·청소년이 디지털성범죄에서 안전할 수 있도록 24시간 열려있는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051-1366), 해바라기센터(051-244-1375, 051-501-9117) 등 디지털 성폭력 피해 긴급신고를 운영한다. 인터넷 환경이 익숙한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익명 온라인상담(www.busan1366.or.kr) 코너를 마련하고, 피해 대처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또 디지털성폭력 피해로 고통받는 아동·청소년을 위해 부산 해바라기센터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는 심리상담을 적극 지원하고, 교육청에서도 ‘Wee클래스’ 등 학교 내 상담을 지원한다. 부산시는 교육청과 협력하여 아동·청소년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찾아가는 폭력 예방 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그동안 시는 ‘여성긴급전화 1366’을 통해 피해자에게 △24시간 긴급 전화상담 및 온라인상담 △경찰수사 지원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와 연계한 영상물 삭제 지원 △사후모니터링 서비스 지원, 성폭력 피해 상담소와 해바라기센터를 통해 △상담, 의료, 수사, 법률, 심리치료 등 다방면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시는 양성평등기금 사업으로 2018년부터 추진해왔던 ‘디지털성범죄 예방 사이버 감시단’을 지속 운영하여 불법 성착취 영상물 삭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지역 내 디지털 성범죄 예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을 통해 ‘부산지역 디지털성범죄 인식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도 추진하여 부산시의 특화된 대응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텔레그램 n번방 사건과 같은 디지털 성범죄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특히, 아동·청소년 피해자를 위해 교육청, 경찰청, 부산지방변호사회, 민간전문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공동 협력하는 등 피해자 보호와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