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백신 개발돼도 미국에 집단면역 형성 안 될 수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돼도 미국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는 미 보건 당국자의 전망이 나왔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현지 시각 28일 CNN과 인터뷰에서 "70, 75%의 효험이 있는 백신이라면 만족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파우치 소장은 "가장 잘한 경우는 홍역으로 97, 98% 효험이 있었으며 그 수준에 도달한다면 훌륭하겠지만 내 생각에는 그럴 것 같지 않다"고 내다봤습니다.

이어 70∼75%의 효험이 있는 백신을 미국 인구의 3분의 2가 접종했을 때 코로나19에 대한 집단면역이 생기겠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그럴 것 같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CNN의 5월 여론조사에서 코로나19 백신이 싼값에 대량으로 보급돼도 이를 맞겠다는 응답자는 66%에 그쳤으며 33%는 접종하지 않겠다고 응답했습니다.

집단면역은 특정 질환에 감염됐다가 나았거나 백신을 맞아 항체가 생기면서 그 질환에 면역성을 가진 인구의 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이 질환의 전파력이 떨어지면서 면역이 없는 사람도 감염될 확률이 낮아지게 됩니다.

파우치 소장의 발언은 개발 단계인 코로나19 백신의 항체 형성률이 아주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상당수 미국인이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상황에서 집단면역 형성이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