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레이더P] 北 도발에도…다시 중재자로 나선 文 "美 대선전 북미대화 추진에 전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이전 미북 정상회담을 재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남북·미북관계 개선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북한의 위협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운전자론'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드러낸 것이다.

1일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날 한-유럽연합(EU)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미국 대선 이전에 북미간 대화 노력이 한번 더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국 역시 북미가 다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이런 생각은 미국 측에 전달됐으며, 미국 측도 공감하고 노력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매일경제

지난달 30일 한-EU 화상 정상회담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이르면 다음 주 방한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 중재에 나서면서 꽉 막힌 한반도 상황이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30일(현지시간) "대화와 진전을 위한 문은 여전히 열려 있다"며 북한을 향해 손을 내밀었다.

최근 대북전단 사태에서 비롯된 남북 갈등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까지 이어지며 2018년 4·27 판문점선언 이전으로 남북관계가 되돌아간 상태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그간 어렵게 이룬 남북관계의 진전과 성과를 다시 뒤로 돌릴 수 없다는 것이 나의 확고한 의지"라며 "인내심을 갖고 남북미간 대화 모멘텀 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은 이날 서울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제6회 한미동맹포럼에서 "대규모 유행병(코로나19) 때문에 전반기 한미연합지휘소 훈련을 연기할 수밖에 없었다"며 "우리는 합동 실사격 훈련을 실시해야 하고 전국급 훈련은 (한미연합) 준비태세에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하반기 한미연합훈련을 앞두고 준비태세 확립을 강조한 것이지만, 최근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 경고 후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박만원 기자 /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