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2020 미국 대선

[코즈모폴리턴] 경합주, 미국 대선을 혼란에서 구할까 / 신기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신기섭 ㅣ 국제뉴스팀 선임기자

미국 대통령 선거가 가까워지면서, 이번 선거가 큰 혼란 없이 마무리될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민주당 지지자들이 선호하는 우편투표를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그가 과연 선거 절차와 결과에 승복할지 의문스러운 탓이다.

11월3일의 투·개표가 무난하게 진행되어 다음날 오전 중 다음번 미국 대통령이 확정될 수 있을까? 이 답의 열쇠는 트럼프와 조 바이든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은 9개 경합주의 표심과 부재자 등의 우편투표 개표 처리에 달렸다고 할 수 있다.

23일(현지시각) 현재 경합주로 꼽히는 곳을 선거인단 규모 차례로 보면, 플로리다(29명) 펜실베이니아(20명) 오하이오(18명) 미시간과 조지아(각각 16명) 노스캐롤라이나(15명) 애리조나(11명) 위스콘신(10명) 아이오와(6명)이다. 9개 주의 합계는 전체 선거인단 538명의 26%인 141명이다. 나머지 주들은 대세가 한쪽으로 기울었거나 선거인단 규모가 작아 큰 변수가 되지 않는다.

미국 선거전문 온라인매체 <파이브서티에이트>가 온갖 경우의 수를 분석한 결과, 트럼프가 재선하려면 플로리다, 오하이오, 아이오와에서 이기고 나머지 6개 주 중 4곳에서도 승리해야 하는 거로 예측됐다. 바이든 후보는 펜실베이니아와 미시간을 이기고 애리조나, 위스콘신, 노스캐롤라이나 중 2곳을 이기면 당선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펜실베이니아, 미시간, 노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위스콘신주의 유권자들이 어느 후보로 기울지, 이들 주의 우편투표 결과가 얼마나 빨리 나올지가 혼란을 피하는 데 중요한 셈이다. 특히 우편투표 결과가 빨리 나오면, 두 후보가 박빙 승부를 펼치더라도 승자가 조기에 확정될 수 있다.

각 주의회 연합단체인 ‘전미 주의회 콘퍼런스’(NCSL)가 취합한 우편투표 관련 규정을 보면, 우편투표 개표가 빠르게 진행될 지역은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조지아, 아이오와주다. 플로리다주는 선거 22일 전부터 우편투표 검증과 개표를 시작한다. 노스캐롤라이나주는 5주 전, 곧 9월29일부터 접수된 우편투표를 검증하고 2주 전부터 개표에 들어가, 선거 당일 오후 7시30분 이후 결과를 발표한다. 애리조나주는 14일 전부터 개표를 시작해 선거 당일 투표 종료 1시간 뒤 결과를 공표한다. 조지아주는 선거 당일 오전 7시부터 개표한다. 아이오와주는 선거일 오후 10시까지 완료될 만한 시간에 개표를 시작한다고만 규정하고 있다.

위스콘신, 펜실베이니아, 미시간, 오하이오주는 우편투표 결과가 늦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 펜실베이니아주는 선거 당일 오전 7시부터 개표를 시작하는데, 최근 주 대법원이 선거 당일 소인이 찍힌 우편투표에 한해 선거 3일 뒤까지 접수할 수 있게 허용했다. 미시간주는 선거 당일 개표하되 시작 시간은 법원이 결정한다. 위스콘신주는 선거 당일 투표 시작 뒤 개표를 시작하는데, 지난 21일 법원이 부재자투표 유효 기간을 선거 뒤 6일 접수분까지로 연장했다. 오하이오주는 현장 투표 개표 전에 우편투표 개표가 가능하지만 정확한 시간 규정은 없다.

선거인단이 상대적으로 많은 펜실베이니아, 미시간, 오하이오의 현장 투표에서 승부가 확실히 갈리지 않으면, 당선자 확정이 늦어지면서 논쟁과 혼란이 극심해질 위험이 큰 셈이다.

각 주의 독자성을 존중하면서 합의점을 찾는 미국의 ‘합중국 체제’는 최근 코로나19와 인종갈등 대응에서 무기력을 드러냈다. 민주·공화 지지세의 지역별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는 가운데 정치적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합주들이 발 빠른 선거 업무 처리로 미국을 혼란에서 구하는 것이 이번 미 대선의 최대 과제라고 생각한다.

marishin@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